약 16곳 생명·손해 보험사 CEO와 첫 상견례 겸 간담회 자리서 보험상품 구조 개편 피력
이 금감원장은 "잘못된 보험 정보에 따른 소비자 피해를 막아야 한다"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 대책과 K-ICS(지급여력비율) 개선 필요

[비즈월드]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하 금감원장)은 1일 생명·손해 보험사 CEO(최고경영자)와 첫 간담회에서 "복잡한 보험상품 구조로 소비자 보호와 신뢰를 높이는 대응책을 마련해달라"고 강조했다.
이 금감원장은 이날 오후 서울 광화문 포스트타워에서 열린 약 16곳의 생명·손해 보험사 CEO와 첫 상견례 겸 간담회 자리에서 이같은 내용을 전했다.
이 금감원장은 "건전한 보험산업으로 발전을 위해서는 잘못된 정보에 따른 소비자 피해를 막아야 한다"면서 "현재 보험상품 구조는 복잡함과 동시에 손해사정 제도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소비자들의 신뢰 인식은 바뀌지 않고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보험사 경영진들이 나서 조직 문화를 개선해 의료 보건 시스템과 유기적으로 협력해야 한다"며 "현재 보건의료 시스템의 문제는 병원의 과잉 진료와 필수적이지 않은 보건의료 지원으로 건보재정이 악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보험 상품을 가입하기 전 체계적인 사전 심사와 보장 내역의 객관성과 신뢰성 확보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보험사들이 단기 수익성에만 치중할 경우 불관용 원칙에 입각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금감원장은 보험업계가 국민 노후 책임의 상당한 역할을 하고 있어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리스크 관리도 피력했다.
이 금감원장은 "보험 산업은 국민 노후를 책임지고 있어 국민의 신뢰가 매우 중요하다. 최근 기준 금리 인하에 따른 변동성 확대로 적정 수준에 부채 비율 등의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보험사들의 애로 사항인 K-ICS(지급여력비율, 킥스)의 충분한 기간으로의 반영과 과도 보험 광고에 따른 소비자에 보험 가입을 유도하는 점에 대해서도 규제의 날을 꺼내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 원장은 "보험사들의 재무건전성의 핵심 지표인 K-ICS(지급여력비율, 킥스)를 우려하고 있는데 이를 충분한 기간으로 반영하겠다"면서 "아울러 과도한 보험광고에 따른 보험가입 유돌를 막기 위해 관련 심의를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보험업계가 사회적 책임을 다하도록 생산적 금융의 자금 공급과 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한 포용적 금융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저출산·고령화로 인구 구조가 상당한 변화와 함께 경제성장률 둔화에 직면하고 있는데 보험사들이 적절한 헬스케어 사업 연계와 해외 신사업 진출에 금감원도 적극 나서겠다"고 전했다.
이날 생명보험사 CEO 참석자로는 ▲홍원학 삼성생명 대표 ▲신창재 교보생명 대표 ▲이영종 신한라이프 대표 ▲정문철 KB라이프생명 대표 ▲정종표 DB생명 대표 ▲윤해진 NH농협생명 ▲김재식 미래에셋생명 대표 ▲이경근 한화생명 대표 등이 참석했다.
손해보험사 CEO 참석자에는 ▲장영근 카카오페이손해보험 대표 ▲이문화 삼성화재 ▲원종규 코리안리 대표 ▲김중현 메리츠화재 대표 ▲이석현 현대해상 대표 ▲구본욱 KB손해보험 대표 ▲정종표 DB손해보험 대표 ▲송춘수 NH농협손해보험 대표 ▲ 송윤상 흥국화재 대표 등이 자리를 메웠다.
또한 ▲노영후 금감원 국장 ▲김철주 생명보험협회장 ▲이병래 손해보험협회장 등도 자리를 채웠다.
[비즈월드=박제성 기자 / pjs84@bizwnews.com]
관련기사
- [현장에서] 센트럼항공, 인천-타슈켄트 첫 직항 노선 취항
- [현장에서] 산토리 맥주 장인의 고집을 맛보다…‘프리미엄 몰츠 하우스‘ 국내 상륙
- [현장에서] 한국 내 평가 좋아진 BYD, 신차 ‘BYD SEAL’ 주행성능 자신감 보여
- [현장에서] 휴양관광 생태체험, 열대 우림 온천 관광지 ‘중국 하이난 바오팅’
- [현장에서] 7회 차 맞이한 ‘2025 서울 의료관광 국제트래블마트’, 서울을 글로벌 의료관광 중심도시로 도약시켜
- [현장에서] "화장품에 제주를 담다"…K뷰티 선도하는 리만이 픽한 '자이언트 병풀'
- [현장에서] 볼보자동차코리아, 브랜드 가장 빠른 모델 순수 전기 크로스컨트리 ‘EX30CC’ 출시
- [현장에서] ‘2025 살람서울 페스티벌’ 더 성대하고 화려하게 개최
- [현장에서] "즐길거리 한 가득"…광화문서 만나는 '2025 게임문화축제'
- [현장에서] '김치 사업' 키우는 롯데호텔…HMR 내고 해외 진출 도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