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의 디자인출원·등록절차 조화
한·미·일 공조로 국익에 부합하는 방향의 조약 도모
특허청, 수요자 의견 적극 수렴해 조약 가입여부 등 면밀 검토

지난 22일(현지시간) 오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킹 압둘아지즈 국제컨퍼런스센터에서 대한민국 대표단이 다렌 탕(Daren Tang) WIPO 사무총장(왼쪽 세 번째), 압둘아지즈 알-스와일렘(Abdulaziz Al-Swailem) 사우디아라비아 특허청장(왼쪽 다섯 번째), 특허청 김지맹 과장(왼쪽 네 번째)과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세계지식재산기구
지난 22일(현지시간) 오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킹 압둘아지즈 국제컨퍼런스센터에서 대한민국 대표단이 다렌 탕(Daren Tang) WIPO 사무총장(왼쪽 세 번째), 압둘아지즈 알-스와일렘(Abdulaziz Al-Swailem) 사우디아라비아 특허청장(왼쪽 다섯 번째), 특허청 김지맹 과장(왼쪽 네 번째)과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세계지식재산기구

[비즈월드] 특허청(청장 김완기)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지난 11월 11일부터 22일까지 열린 외교회의를 통해 ‘리야드 디자인법조약(Riyadh Design Law Treaty, 이하 ‘조약’)’이 채택됐다고 27일 밝혔다. 

우리 정부는 이번 외교회의에 특허청·한국지식재산연구원으로 구성된 대표단을 파견해 해당 조약이 국익에 부합하는 국제규범이 되도록 미국·일본 등 주요 선진국과 긴밀 공조하며 적극 대응했다고 설명했다.

‘리야드 디자인법조약’은 국가마다 서로 다른 디자인 출원 절차를 간소화하고 등록권리의 관리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절차법 성격의 조약 마련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마련됐다. 해당 조약은 2005년부터 논의를 시작해 2011년 조약 초안이 마련됐다. 그러나 조약 이행을 위한 개도국 등 기술지원과 역량강화 등 쟁점을 두고 견해차에 이한 대립이 계속되어 오다가 2022년에 외교회의 개최가 결정됐다.

이 조약은 ▲출원일 인정요건과 출원서 필수기재사항 규정 ▲기간연장·권리회복 등 구제절차 마련 ▲부분디자인·복수디자인·비밀디자인 등 디자인권 강화를 위한 선진 제도가 포함되어 잇다. 이와 함께 지식재산권 인프라 격차 해소를 위한 개도국·최빈국 기술지원과 역량강화에 규정도 포함됐다

◆특허·상표에 이어 디자인보호법에 관한 국제조약 완성

특허청은 세계지식재산기구(WIPO)가 관장하는 특허법조약(PLT, 2000년)과 상표법에 관한 싱가포르 조약(STLT, 2006년)에 이어 리야드 디자인법조약(Riyadh DLT)이 채택됨으로써 산업재산권 주요 3법에 관한 국제조약이 모두 완성됐다고 강조했다. 

특히 디자인 분야는 특허·상표에 비해 전 세계적으로 제도가 달라, 우리 기업들이 해외에서 디자인권을 확보하는데 그간 어려움이 많았다. 이번 조약의 확정을 20년 동안의 숙고와 협상을 통해 견해 차이를 절충한 결과로 선진국과 개도국의 입장을 균형있게 반영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는 것이다. 

◆세계 각국의 디자인 출원 및 등록절차의 조화 계기 마련

조약에 따르면, 출원서 필수 기재사항이 최소 한도로 규정됨으로써 절차가 간소화된다. 또 출원 전에 먼저 디자인을 공개하였더라도 1년 이내에 출원할 경우 자신의 공개행위로는 거절되지 않는다. 

우선권 주장을 출원 때에 하지 못했어도 이를 추가하거나 보정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나아가 특허청에 제출할 서류를 마감 기한까지 내지 못하였더라도 소정 요건을 갖추면 기한을 연장하거나, 상실된 권리를 회복할 수 있는 등 권리자 친화적인 다양한 구제방안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조약에 가입한 국가는 ▲디자인의 일부 부분만을 실선 도면으로 표현해 권리범위를 넓히는 출원방법인 ‘부분디자인’ ▲하나의 출원서에 복수 개의 디자인들을 첨부해 한 번에 출원하는 방법인 ‘복수디자인’ 등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요 선진국에서 이미 시행하고 있는 다양한 제도를 제공하도록 규정했다. 아울러 출원인이 원하는 경우에는 최소 6개월 이상 디자인을 미공개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공개 시기를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허용하도록 했다.

◆디자인 제도 국제조화와 수요자 편익을 중심으로 조약 가입시기 면밀 검토

특허청은 수요자 의견과 국내 산업에 끼칠 영항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이번 외교회의에서는 미국·일본과 마찬가지로 조약에 가입 서명하지는 않았다고 전했다.

앞으로 특허청은 설명회 등을 통해 채택된 조약 내용을 포함한 외교회의 결과를 공유하고 수요자 의견을 지속적으로 청취할 예정이며 주요 국가의 가입 동향 등을 관찰하면서 조약 가입 필요성과 시기 등을 면밀히 검토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비즈월드=정영일 기자 / zprki@bizwnew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비즈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