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 업그레이드
인텔 등 IDM·레거시 기업 제외해 '성장성' 강조

[비즈월드] 미래에셋자산운용과 미국 나스닥 증권거래소(NASDAQ) 협업으로 '반도체·AI(인공지능)' 성장 가능성에 투자할 수 있는 지수가 탄생했다.
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운용은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미국 나스닥 증권거래소와 함께 '나스닥×타이거(TIGER) ETF’ 세미나를 개최했다. 세미나에서 30년 만의 새로운 반도체 지수인 '미국AI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를 공개해 눈길을 끌었다.
이번 세미나는 미국 나스닥 증권거래소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개최한 글로벌 투자자 대상 세미나다. 김남기 미래에셋자산운용부문 대표(부사장)와 에밀리 스펄링 나스닥 증권거래소 스펄링 수석부사장, 션 와서먼 나스닥 증권거래소 부사장 등 양사 대표 인사들이 참석했다.
양사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신규 출시되는 미국AI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ASOX)는 1993년 발표된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SOX)' 이후 30년 만에 새롭게 발표된 글로벌 반도체 투자지수다.

해당 지수는 기존 반도체 지수 대비 AI 비중을 확대한 것이 특징이다. AI (인공지능)반도체 밸류체인(제조공정) 카테고리별로 부합하는 종목을 편입하며 여기에는 혁신 대표 기업인 엔비디아, TSMC, 브로드컴, ASML, QMD, 퀄컴, 램리서치 등이 포함된다. 최대 20종목까지 편입할 수 있으며 승자 독식 시장을 고려해 상위 종목 비중을 높였다는 설명이다.
특히 이번 지수는 인텔로 대표되는 'IDM(종합반도체회사) 기업'과 7나노미터(nm) 이하 반도체 생산에 어려움을 겪는 '레거시 파운드리 기업'을 제외해 혁신 민감도를 높인 점이 주요 포인트다. 시뮬레이션 결과 ASOX 지수는 최근 5년 580% 수익률을 기록했으며 이는 글로벌 대표 지수인 S&P500과 SOX 지수를 2배 넘게 뛰어넘는 수치다.
데이빗 초이 나스닥 인덱스 리서치 대표는 "AI에 대한 많은 투자가 합당한지 질문을 가질 수 있지만 대기업들이 과대투자하는 것보다는 적게 투자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AI가 데이터가 수집되는 PC-스마트폰 등 '엣지 AI' 영역에서 더 발전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강조했다.
미래에셋운용은 AI 시대를 선도하는 새로운 반도체 지수로 레거시 프리(Legacy Free) 포트폴리오를 구축해 혁신 성장 산업 투자 확대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입장이다. 미국 나스닥 거래소도 미래에셋운용과의 꾸준한 협업을 약속했다. 해당 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현재 출시 미정이다.
에밀리 수석부사장은 "SOX의 경우 30년 전 상장해 반도체 대표 지수로 자리잡아 새로운 역사를 써내려갔다"며 "미래에셋과의 파트너십으로 새로운 투자 지수를 발표해 기쁘며 앞으로도 TIGER와 협업해 시너지를 발휘해 나갈 계획이다"고 설명했다.
김민 미래에셋운용 캐피탈마켓 팀장은 "(기존 출시된) 미국 필라델피아 반도체 나스닥 ETF의 경우 많은 투자자들에게 반도체의 새로운 지평과 수익률을 제시해 세계 최대의 규모를 보여주고 있다"며 "과거와 또 달라진 환경에서 AI에 적합한 기술을 고민했고 나스닥과 함께 에이삭스라는 필라델피아 AI 반도체 지수를 출시하게 됐다"고 말했다.
[비즈월드=최상규 기자 / csgwe@bizwnews.com]
관련기사
- [현장에서] 일본 아코디아골프 한국 인바운드시장 대상 상담회 개최
- [현장에서] "전문성에 혁신을 더하다"…바디프랜드, 의료기기 '메디컬 파라오' 선봬
- [현장에서] "서울시의회, 전기차의 안전대책 논의 위해 ‘여야 한 목소리’"
- [현장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 ‘오스트리아’로 여행 오세요”…'오스트리아 워크숍 2024' 진행
- [현장에서] "축적된 시간의 풍미"…로얄살루트, 최상위 라인업 '타임 챔버' 최초 공개
- [현장에서] “살고 싶은 서울시 만들려면 안전한 보행 환경으로 걷기 좋은 도시돼야”
- [현장에서] “조류 인플루엔자, 팬데믹 가능성↑…사전 대응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