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김치 맞춤 숙성모드 적용… 천연감미료 ‘만니톨+’ 발효과학 알고리즘 적용해 감칠맛 극대화
변화된 소비자 식문화 반영해 과일주&과일청 숙성 모드, 밀키트 보관 모드 적용
최신 트렌드 반영한 글래스와 프리미엄 신소재 적용한 디자인 선보여

‘위니아(대표 최찬수)’가 전국 팔도의 김치 맞춤 숙성 기능을 탑재하고 최근 식문화 트렌드까지 반영한 2023년형 ‘딤채’ 신제품을 출시했다고 26일 밝혔다. 사진=위니아
‘위니아(대표 최찬수)’가 전국 팔도의 김치 맞춤 숙성 기능을 탑재하고 최근 식문화 트렌드까지 반영한 2023년형 ‘딤채’ 신제품을 출시했다고 26일 밝혔다. 사진=위니아

[비즈월드] 자랑스러운 우리 문화유산 ‘김치’. 김치는 종류가 많고 지역별로 담그는 가정별로 부재료나 숙성 정도의 선호도가 다른 것이 장점 중에 하나다. 그러나 김치냉장고가 많이 보급됐지만 소비자가 원하는 미묘한 차이를 만족시키지는 못했다.

이런 가운데 ‘위니아(대표 최찬수)’가 전국 팔도의 김치 맞춤 숙성 기능을 탑재하고 최근 식문화 트렌드까지 반영한 2023년형 ‘딤채’ 신제품을 출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 모델에는 서울에서 제주도까지 지역별 특화된 김장 재료에 따라 완성된 새로운 숙성 모드가 적용됐다. 

담백한 젓국 또는 새우젓, 조기젓, 황석어젓 등을 주로 사용하고 짜거나 맵지 않은 맛이 특징인 서울과 경기도 선호 김치와 강원도·충청도 지역의 ‘중부식’, 소금과 젓갈을 많이 사용해 간이 강하고 양념이 많은 것이 특징인 전라도·경상도·제주도 지역의 ‘남부식’으로 김치숙성 모드를 나눠 전국 팔도의 김치를 맞춤 숙성 보관할 수 있도록 했다.

또 5룸 모델의 경우, 각 지역의 계절마다 즐겨먹는 김치를 손쉽게 보관할 수 있도록 ‘제철 김치 보관 모드’도 적용했다. 여름철에는 열무김치, 가을철에는 겉절이, 겨울철에는 동치미 등을 가장 맛있는 적정 온도에서 보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천연감미료 '만니톨+' 숙성 알고리즘도 탑재했다. ‘만니톨’은 김치 숙성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성분으로 감칠맛을 높여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딤채 발효과학 모드로 김치를 숙성할 경우 일반 보관 김치 대비 만니톨이 86배 이상 증가해 김치의 감칠맛과 향미를 극대화 한다. 이를 통해 딤채 오리지널 발효과학이 한 차원 더 업그레이드 된 것이다. 

신제품 2023년형 딤채는 급변하는 소비자 식문화를 반영한 기능도 적용해 관심을 끈다. 우선 MZ세대의 홈메이드, 홈술 문화를 반영해 과일주&과일청 숙성 모드까지 추가했다. 숙성 이후 보관 모드로 자동 전환되어 더 신선하게 과일주와 과일청을 보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소비자의 식생활 변화에 맞춰 ‘밀키트 보관 모드’를 적용했다. 자체 실험 결과 밀키트 속 다양한 야채 등의 식재료를 일반 냉장고 대비 2배 이상 신선한 상태로 보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치냉장고 내·외관의 디자인적 요소도 강화했다. 우선 외관의 색상과 소재를 다양화해 실내 인테리어와의 조화를 극대화했다. 부드러운 빛을 담은 매트한 질감의 유리 소재로 따뜻하고 우아한 무드를 선사하는 글래스 라인은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그린·코타·토프의 유광 컬러를 추가해 총 16종의 색상으로 구성했다. 이와 함께 프리미엄 가구에 많이 쓰이며 고급스럽고 매트한 질감에 무광이 특징인 ‘세라믹룩’ 라인과 메탈이지만 따뜻한 질감과 촉감을 전하는 ‘텍스쳐 컬러 메탈’ 라인도 선보였다.

외관에 어울리게 내관의 소재도 고급화했다. 김치냉장고 상단 문 안쪽을 기존의 화이트 색상에서 차분한 느낌의 실버톤으로 변경했다. 이를 통해 김치냉장고 내·외관의 조화감과 일체감을 강화했다. 여기에 기존 제품 대비 더 깊어진 도어 포켓을 통해 수납 공간의 사용 편의성도 높였다.

최찬수 위니아 대표는 ”올해는 1995년 딤채 첫 출시 이후 천만대 생산을 돌파하는 기념비적인 한 해이다”라며 “2023년형 딤채는 최고의 김치 맛과 독보적인 기술력으로 명실상부 1등 김치냉장고 브랜드로 그 가치를 더욱 공고히 해 나갈 것이다”라고 말했다.

[비즈월드=정영일 기자 / zprki@bizwnew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비즈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