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 성지 시장, 단통법 폐지로 실시간 가격 경쟁 체제 진입…지역별 최대 50만원 격차

[비즈월드]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폐지 이후 국내 휴대폰 시장이 급격히 재편되고 있다.
그동안 통신사와 제조사 중심으로 제한됐던 지원금 정책이 완화되면서 ‘성지 시세표’가 하루 단위로 바뀌는 실시간 가격 경쟁 시장으로 변화되고 있는 것이다.
휴대폰 시세 비교 플랫폼 ‘시세킹’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단통법 폐지 직후 통신사별 공시지원금 변동 폭이 기존 대비 최대 두 배 이상 확대됐다”면서 “아이폰과 갤럭시 주요 모델의 시세 경쟁이 본격적으로 가열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특히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은 출고가 중심에서 지원금 중심 구조로 전환되고 있다.
아이폰은 특정 요금제 구간에서 30만원 이상 지원금이 붙는 사례가 나타났고, 갤럭시는 모델별·지역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성지 간 실구매가 차이가 50만원에 이르는 사례도 확인됐다는 것이다
시세킹 관계자는 “단통법 폐지로 유통점과 온라인 판매처의 가격 자율성이 확대되면서, 이제는 동일 모델이라도 시세가 지역마다 다르게 형성되고 있다”며 “소비자들은 하루 한 번 이상 시세표를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업계는 이번 단통법 폐지를 계기로 휴대폰 시장이 자율 경쟁 기반의 시장 구조로 전환되는 출발점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원금 경쟁이 소비자 가격 인하로 이어질 경우, ‘성지’ 중심의 시세 흐름은 앞으로도 당분간 시장의 주요 지표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비즈월드=한기훈 기자 / hankh@bizwnews.com]
관련기사
한기훈 기자
hankh@bizw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