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1등급 수준 기술·특허 다수 보유…시공비 문제로 적용 한계
일각 “기술력 떨어지는 중소 건설사 줄도산 등 독약될 수도” 우려

정부가 층간소음 관련 기준을 강화하며 기준 미달 시 ‘준공 불허’라는 강경책을 들고  나왔다. 이런 가운데 건설사들의 저감 기술 상용화에 대한 관심도가 올라간다. 사진은 현대건설 H사일런트 랩에서 임팩트볼 테스트가 진행되는 장면. 사진=현대건설
정부가 층간소음 관련 기준을 강화하며 기준 미달 시 ‘준공 불허’라는 강경책을 들고  나왔다. 이런 가운데 건설사들의 저감 기술 상용화에 대한 관심도가 올라간다. 사진은 현대건설 H사일런트 랩에서 임팩트볼 테스트가 진행되는 장면. 사진=현대건설

[비즈월드] 정부가 층간소음 관련 기준을 강화하며 기준 미달 때 ‘준공 불허’라는 강경책을 들고나왔다.

건설업계는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공감하면서도 갑작스럽게 발진하듯 나온 대책에 당혹스럽다는 반응이다.

강화된 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 저감 기술을 아파트에 적용하면 시공비가 늘어나는데다 기술 경쟁력이 떨어지는 중소 건설사들은 시장에 대처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기 때문이다.

14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최근 국토교통부가 층간소음 기준 미달 때 보완 시공을 의무화하고 이를 이행하지 않으면 준공을 불허하는 ‘층간소음 해소방안’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층간소음 저감 기술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대형 건설사들은 저마다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개발팀을 꾸리거나 자사 연구소 등을 통해 관련 기술 개발에 매진해 왔다. 건설사가 보유하고 있는 층간소음 기술 관련 특허를 살펴보면 업계가 집중해 온 기술 개발 추세를 알아볼 수 있다.

진동을 절연하고 음압을 흡수할 수 있는 물성인 동탄성이 좋은 EVA(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로 제작한 ‘완충재’, 바닥 두께를 늘리거나 바닥 중량을 높이면 고유진동수가 줄어드는 원리를 적용한 ‘고중량 바닥’, 바닥구조가 전부 맞닿지 않고 일부만 접촉하도록 해 공기층을 만들고 실질적으로 충격음이 전달되는 면적을 조절한 ‘뜬 바닥’, 방진 기능을 추가한 ‘행거·천장’ 등이 주요 기술로 꼽힌다.

문제는 최근 주택 원가율이 크게 늘며 시장이 부진한 상황에서 층간소음 저감 기술까지 적용하면 시공비가 늘어날 것이 뻔하다는 점이다.

그러잖아도 얼어붙은 시장 상황을 더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각 건설사가 이미 1등급에 해당하는 층간소음 저감 기술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실제 상용화가 어려웠던 점은 비용 문제가 크다.

롯데건설의 발포 패드 특허 관련 평면·단면(a)과 발포 패드가 시공된 단면(b). 그림=키프리스
롯데건설의 발포 패드 특허 관련 평면·단면(a)과 발포 패드가 시공된 단면(b). 그림=키프리스

시공비를 크게 늘리지 않으면서 층간소음 저감 성능을 확보할 방법은 타 부재보다 비교적 저렴한 완충재를 사용하는 것이다.

문제는 완충재가 연화점이 낮은 재료인 EVA를 주재료로 사용해 시간이 지나면 물성 변화가 커지고 장기간 사용하면 완충 성능이 없다시피 해진다.

완충재는 바닥구조가 되기 때문에 한 번 설치하면 장기간 사용해야 하는데 성능이 떨어졌다고 바닥을 뜯어내고 재시공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이런 한계를 극복할 특허 기술로는 롯데건설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한 ‘발포 패드’, 현대엔지니어링의 높은 열에도 동탄성을 유지하는 ‘엘라스토머 조성물’, HDC현대EP의 40년 수명을 확보한 ‘적층형 층간 차음재’ 등이 있다.

DL이앤씨는 층간소음 예방을 위한 ‘층간소음 알리미’를 개발하고 상용화에 나섰다. 사진=DL이앤씨
DL이앤씨는 층간소음 예방을 위한 ‘층간소음 알리미’를 개발하고 상용화에 나섰다. 사진=DL이앤씨

입주자 스스로 조심할 수 있도록 가구에서 층간소음 발생 시 경고하는 알림 기술이 비교적 비용을 덜 들이고 층간소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단으로도 꼽힌다. 층간소음 자체를 저감하는 효과는 없지만 입주자 스스로 주의할 수 있도록 해서다. 관련 특허는 삼성물산·대우건설·DL이앤씨 등이 보유하고 있다.

비용 문제에 이은 또 다른 문제는 기술 경쟁력이 떨어지는 중소 건설사다. 대형사보다 자금력 등 체급이 떨어지는 중소 건설사는 주택시장 불황에 줄폐업·도산이 이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강화한 층간소음 기준은 중소 건설사에 극약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빗발친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층간소음 저감 기술은 대형 건설사마다 1등급 수준의 기술을 이미 보유하고 있지만 문제는 비용”이라며 “좋은 기술이 있어도 비용 문제 때문에 적용이 어려운 건데 어떻게 해결해 나가야 할지 고민이 크다”라고 말했다.

이어 “국토부가 층간소음 관련 대책을 내놨지만 기준만 내놓고 100점 맞으라는 식의 태도에 업계에서는 당혹감이 크다”라며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공감하지만 안 그래도 힘든 주택시장에 혼란을 가중시킬 가능성도 크다”고 토로했다.

[비즈월드=나영찬 기자 / na@bizwnew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비즈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