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지식재산청(EUIPO)은 지난달 28일 ‘지식재산권 침해 관련 소셜 미디어 모니터링 및 분석 (Monitoring and analysing social media in relation to IP infringement)’ 보고서를 내놨다고 한국지식재산연구원이 18알 전했다. 사진=유럽 지식재산청 홈페이지 캡처
유럽 지식재산청(EUIPO)은 지난달 28일 ‘지식재산권 침해 관련 소셜 미디어 모니터링 및 분석 (Monitoring and analysing social media in relation to IP infringement)’ 보고서를 내놨다고 한국지식재산연구원이 18알 전했다. 사진=유럽 지식재산청 홈페이지 캡처

[비즈월드] 유럽 지식재산청(EUIPO)은 지난달 28일 ‘지식재산권 침해 관련 소셜 미디어 모니터링 및 분석 (Monitoring and analysing social media in relation to IP infringement)’ 보고서를 내놨다고 한국지식재산연구원이 18알 전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itter), 인스타그램(Instagram), 레딧(Reddit)의 4대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분석했다고 한다.

보고서는 크게 ▲소셜 미디어 대화에서의 지식재산권 침해 양상 ▲개별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나타난 지식재산권 침해의 특징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의 지식재산권 침해 관련 비즈니스 모델 등 3가지 사항에 대해 설명했다.

먼저 ‘소셜 미디어 대화에서의 지식재산권 침해 양상’에 대해 보고서는 ▲소셜 미디어에서 지식재산권 침해와 관한 대화(conversation)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상품군은 장난감, 향수 및 화장품 분야였으며, 디지털 콘텐츠의 경우 영화, 음악, 비디오게임이었다. ▲소셜 미디어에서의 대화 중 실제 상품(physical product)에 관련된 소통의 약 11%는 위조품에 관한 것이며, 디지털 콘텐츠 관련 대화의 약 35%는 불법 복제에 관계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이어 ‘개별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나타난 지식재산권 침해의 특징에 대해 ▲실제 상품에 관한 지식재산권 침해가 가장 많이 언급된 플랫폼은 인스타그램으로 주로 시계, 장난감, 향수 및 화장품, 보석, 신발류에 관한 대화가 많았으며 ▲트위터에서는 의류 및 장난감에 관한 대화가 많이 발생하였으며, 레딧의 경우 의약품 및 헬멧 관련 내용이 자주 나타낫다고 한다.

▲반면 페이스북은 다른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비해 지식재산권 침해 상품에 관한 대화가 적었는데 이는 침해 콘텐츠 식별과 삭제를 위한 플랫폼의 노력에 더해 주로 비공개 그룹 활동이라는 페이스북 특유의 현상에서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이런 소통의 대부분은 영어로 이뤄졌으며 폴란드어(Polish), 스웨덴어(Swedish)도 드물게 나타났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의 지식재산권 침해 관련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서는 ▲실제 상품에 관한 지식재산 침해는 주로 판촉 및 상업적 활동에 관련되어 있고, 위조품 제공자들은 이미 합법적인 브랜드 사업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증명되고 성공적인 사업 모델을 모방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복제의 경우 콘텐츠 이용자가 불법복제 콘텐츠에 접근하고자 하는 의도가 주요 요인이며, 해적판 콘텐츠의 제공자들은 수동적인 위치에서 새로운 불법복제물 이용자를 유인하기 위해 정보를 퍼뜨리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저작권자 © 비즈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