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본부를 AI데이터본부로 확대 개편
소비자 맞춤형 서비스로 경쟁력 꾸준히 높여

[비즈월드] 하나은행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와 업무 혁신을 통해 금융 산업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과 내부 업무 효율성 증대를 동시에 실현하고 있다.
◆ 소비자 맞춤형 AI 서비스 확대
하나은행은 AI를 활용한 소비자 맞춤형 금융 서비스를 대폭 확대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AI 챗봇 서비스가 고도화돼 보다 정교한 금융 상담이 가능해졌으며 개인 맞춤형 금융 상품 추천 시스템도 한층 정밀해졌다. 이를 통해 고객들은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금융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됐다.
기업 하이챗봇은 법인·개인사업자 손님의 문의를 AI기반으로 분석해 답변해주는 메신저 형태의 챗봇 서비스로, 거래상담, 금융상품 문의, 주요 서비스 안내 등을 '하나원큐 기업 앱' 또는 '기업 인터넷뱅킹'을 통해 24시간 이용 가능한 서비스다.
법인·개인사업자 손님별 맞춤형 답변을 제공하는 고객 특화상담을 통해 이용 만족도를 향상시켰으며, 문의 내용을 '하나원큐 기업 앱' 및 '기업 인터넷뱅킹'의 거래 화면과 자동으로 연계해 거래처리 속도도 개선했다.
또 AI 기반 신용평가 모델을 도입해 금융 소외 계층도 적절한 금융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를 통해 보다 공정하고 투명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금융 접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하나은행은 AI기반 디지털 자산관리 플랫폼 '아이웰스'를 프라이빗뱅킹(PB) 수준의 초개인화 자산관리 서비스로 고도화하고 있다. 하나은행이 자산 현황부터 자산 진단, AI 투자, 구독 생활로 연결된 모바일 PB 서비스라는 점을 기존 디지털 자산관리와의 차별점으로 내세운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아이웰스는 고객의 전체 자산을 체계적으로 보여주고, 투자 DNA를 AI 알고리즘에 적용해 투자 및 진단이 가능하게 했다"며 "자산관리 구독 서비스로 디지털 자산관리 경쟁력도 높였다"고 말했다.

◆ 조직개편과 AI 도입으로 업무 효율성 극대화
하나은행은 지난해 그룹 차원에서 데이터본부를 AI데이터본부로 확대 개편했고 70여 명의 석박사급 연구원이 근무하는 하나금융융합기술원에서 총 3개 분야(빅데이터 및 AI랩, Advanced AI랩, DT랩)로 랩을 구성해 하나은행 각 부서와 협업하며 AI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내부적으로는 AI 기술을 활용한 업무 자동화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나은행은 AI 기반의 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통해 금융 리스크를 사전에 감지하고 대응하는 체계를 구축했다. 이를 통해 더 안정적인 금융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도록 했다.
하나은행은 AI를 활용한 '기술력 기반 기계학습(ML) 모형'을 개발하여 중소기업의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을 평가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기존 재무제표 중심의 평가에서 벗어나 기업의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신용평가를 실현하고 있다.
여기에 AI를 활용한 수출환어음 매입 전산 자동화를 통해 비정형화된 수출 서류를 자동으로 분류하고 데이터를 추출함으로써 업무 효율성을 높였다. 이를 통해 직원들은 보다 창의적이고 부가가치 높은 업무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AI 기술을 통해 고객 중심의 혁신적인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디지털 금융의 미래를 선도하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
[비즈월드=최희우 기자 / chlheewoo@bizw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