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4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환경부 종합감사 열려
장형진 영풍 고문 출석한 가운데 환경오염·산업재해 질타

[비즈월드] "영풍과 같은 기업은 이제 정리돼야 됩니다." 임이자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24일 열린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환경부 종합감사에서 영풍이 운영 중인 석포제련소의 환경오염과 산업재해를 꼬집었다.
이날 열린 환경부 감사는 MBK파트너스와 연합해 고려아연과 경영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영풍의 장형진 고문이 증인으로 출석한 가운데 열렸다. 특히 여야 의원들은 영풍의 석포제련소를 지적하며 환경오염 및 중대재해 관련해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임 의원에 따르면 석포제련소가 그동안 저지른 만행 처참한 수준이었다. 지난 1979년 낙동강 카드뮴 중금속 배출, 1991년 대규모 황산 유출 피해, 1997년 탱크로리 전복으로 인한 황산의 낙동강 지류 유입 등 많은 피해가 벌어졌다. 지난 2014년부터 2022년까지 환경법 위반 사례는 80건에 달하고 1997년 이후 산업재해로 지금까지 15명의 노동자가 사망한 것으로 드러났다.
임 의원은 국감 현장에서 환경단체가 제보한 사진들을 공개하며 오염된 흙을 낙동강 강변 강둑으로 버리는 증거들까지 제시했다. 여기에 환경부가 통합환경 허가를 내주는 데 있어 설비 개선 문제, 운영 등과 관련해 총 103개 조건을 걸고 제련 잔재물 처리를 내년 6월 30일까지 처리하라고 지시한 일 등을 설명했다.
임 의원은 환경부 장관 질의에서 "지하수 오염 현황과 관련해 1공장, 2공장을 폐쇄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철저히 검사하고, 경북에서도 이전 검토를 하니 환경부도 고민을 해야 한다. 이전하기 전 페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폐쇄를 주문했다.
또 장 고문 질의에서 임 의원은 "불출석 사유서를 보게 되면 공개매수 관련해 경영권 다툼에 있어서 그러신 것 같다. 누가 봐도, 대한민국 삼척동자가 봐도 장 고문이 영풍의 실질적 오너라는 것을 말해준다"고 운을 뗀 후 "영풍 석포제련소에서 불법 하수에서 독극물을 배출하는 이런 내용의 사진들이 숱하게 찍혀 있다"고 질타했다.
특히 임 의원은 "몇십년 동안 기업을 하면서 환경오염을 계속 시키고 국가에서 제지하는 분들을 조롱하듯이 아니면 희롱하듯이 이렇게 하는 기업은 아예 뿌리를 뽑아야 되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임 의원은 장 고문에 50년 동안 몸담고 있던 회사의 근로자들이 사망했음에도 불구하고 '나는 모른다라고 주장하느냐'는 질문을 던졌다. 이에 장 고문은 "그동안의 과거의 숫자를 모른다고 한 것"이라고 답했다.
다시 임 의원은 "너무하시는 것 아니며 50년 동안 몸담았고 실질적으로 아들, 딸들이 최대 주주로 있는 회사의 근로자가 사망했는데 모른다니 갑갑하다"고 토로했다.
이와 함께 김위상 국민의힘 의원 역시 장 고문을 질타했다. 김 의원은 "장 고문께서는 실질적 오너인데 반성의 기미는 전혀 없는것 같다. 낙동강 오염, 각종 산재 사망사고, 환경파괴 등으로 주민 피해가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회에서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적발된 위반사항에 대해 행청처분을 받는 등 관련자를 구속까지 했지만 여전하다. 영풍 석포제련소는 정부 당국 제재에 소송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 현재 영풍은 환경오염에 대한 제재로 경북도청으로부터 60일 조업정지 처분을 받았는데 이에 불복해 취소 소송을 제기했다. 1심, 2심에서는 영풍이 패소했으며, 이에 영풍은 대법원에 상고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김 의원이 '상고를 포기할 생각이 없느냐'고 물었고 장 고문은 "경영에 관계하지 않아서 직접적으로 지금 말씀드릴 수 없다"고 답했다.
[비즈월드=황재용 기자 / hsoul38@bizw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