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진출 지원
K-수출 전략 품목 중심의 생산적 금융 생태계 구축
민·관 협력으로 중소·벤처기업과 소상공인 해외 진출 지원 확대

[비즈월드] 신한은행(은행장 정상혁)은 지난 11일 서울시 중구에 있는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3회 K-글로벌 도약 상생 포럼’을 공동 개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포럼은 중소벤처기업부, 주한외국대사관(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대한상공회의소와 함께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2024년 5월 'Beyond Korea'(비욘드 코리아, 한국을 넘어), 민·관 합동 중소·벤처기업 글로벌 진출지원 컨퍼런스(베트남) ▲2024년 11월 중부 유럽 진출 지원 콘퍼런스에 이은 세 번째 포럼이다.
특히 카자흐스탄과 우주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지역의 산업 다변화와 한류 확산에 따라 높아진 한국 소비재·첨단 기술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됐다.
앞서 지난 4월 진옥동 신한금융그롭 회장은 그룹의 새로운 글로벌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국가를 방문했다.
진 회장은 현지에서 "중앙아시아는 글로벌 성장의 핵심 거점으로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라며 "현지 산업과 금융의 동반 성장을 지원해 지속 가능한 글로벌 성장 기반을 공고히 하겠다"라고 말했다.
이번 행사에는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KOTRA(코트라) 등 공공 기관과 현지 법무·회계 법인 등 민간 기관이 함께 참여해 각종 지원 제도와 투자 정보를 공유했다.
중소·벤처기업 70여개사 관계자들이 참석해 활발한 상담과 네트워킹을 진행했다.
신한은행은 주관사로서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현지 전문가를 초청해 시장 진출 설명회를 운영해 현장에 맞춤형 금융상담 부스를 설치해 1 대 1 개별 상담도 진행했다.
특히 이번 포럼에는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참여해 K-뷰티, K-푸드 등 해외 진출을 희망하는 소상공인의 실질적인 지원을 통해 생산적 금융의 모범 사례도 소개됐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은 에너지, 인프라, 디지털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 기업과 협력 잠재력이 큰 시장"이라고 말했다.
또 "국내 기업이 새로운 시장에서 안정적으로 성장하도록 다양한 지원 활동을 지속하겠다"라고 덧붙였다.
[비즈월드=박제성 기자 / pjs84@bizw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