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미디어 데이' 열고 사업 및 개발 로드맵 공개
여러 분야 기업들과 협업해 2024년 1분기 상용화 목표
총 9개의 '아일랜드'서 경제·사회·문화 활동 가능

[비즈월드] 컴투스(대표 송재준·이주환)의 메타버스 전문기업 컴투버스(대표 이경일)가 미래 글로벌 메타버스 산업을 선도하겠다는 포부를 천명했다.
컴투버스는 25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서울 호텔에서 '미디어 데이(Media Day)'를 열고 메타버스 사업과 개발 로드맵에 대해 발표했다.
컴투버스는 컴투스가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 맞춰 메타버스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설립한 기업이다. 컴투스는 지난해 메타버스 사업 구상을 본격 시작한 후 지난 4월 계열사 위지윅스튜디오 및 엔피와 함께 조인트 벤처인 컴투버스의 문을 열었다.
컴투버스는 현재 '올인원 메타버스' 개발을 목표로 역량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메타버스가 인터넷으로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오픈 월드의 가상 세계로 옮긴 공간인 만큼 이곳에서 수많은 사람들을 동시 수용하고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메타버스에서는 기존 2D 형태로 제공되는 정보 및 콘텐츠, 서비스가 4차원의 시공간을 통해 배열되고 이용자들이 아바타를 통해 이를 획득한다.
컴투버스는 이 개념을 '메타 브라우징'이라고 지칭했으며 이를 현실로 가져오는 선구자가 되는 것은 물론 모든 참여자들이 함께 메타버스를 만들고 완성시키는 오픈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전략이다.
특히 컴투버스는 메타버스에 '아일랜드'라는 공간 개념을 적용, 총 9개의 아일랜드를 준비 중이다. 아일랜드에는 서비스와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건물과 메타버스 오피스, 도로와 교통, 자연 환경 등의 입지가 들어서고 커뮤니티와 일반 유저들의 공간이 조성될 예정이다.
아일랜드 하나의 크기는 현실 속 축구장 약 3200개의 규모며 컴투버스는 새로운 서버 프레임웍 기술로 이를 지원한다. 또 이용자들은 누구나 컴투버스가 제공하는 인프라를 통해 아일랜드에서 경제·사회·문화 활동을 영위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컴투버스는 메타버스 사업의 성공을 위해 여러 산업 분야의 유력 기업들과의 협업에 적극 나서고 있다. 기존에 공개한 ▲하나금융그룹 ▲SK네트웍스 ▲교원그룹 ▲교보문고 ▲한미헬스케어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마이뮤직테이스트 ▲영실업 ▲닥터나우 ▲푸트테크 외에도 신규 파트너사인 KT가 최근 합류했다.
컴투버스는 이들과 함께 내년 3분기까지 B2C 서비스를 개발하고 일반 사용자들을 위한 상용화 서비스를 2024년 1분기까지 완성한다는 목표다.
이경일 컴투버스 대표는 "메타버스라는 영역은 아직까지 '화이트 스페이스'라고 할 수 있다"며 "과거 대한민국이 선진국의 사업을 벤치마킹하고 발전했다면 이제 우리가 많은 참여자들과 함께 메타버스라는 새로운 사업 영역을 선도적으로 이끌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비즈월드=황재용 기자 / hsoul38@bizw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