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성의 촉발' 주제로 스페인 바로셀로나서 28일 막 올려
전 세계 1500여개 기업 참가…국내선 삼성·이통3사 등 참석

[비즈월드]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가 3년 만에 부활한다. 국내에서도 삼성전자를 비롯한 관련 업계가 대거 참석한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MWC 2022는 28일(현지시간)부터 다음 달 3일까지 스페일 바로셀로나에서 개최된다. '연결성의 촉발(Connectivity Unleashed)'을 주제로 온·오프라인 병행 행사로 열린다.
코로나19 펜데믹 후 정상 개최를 못한 MWC가 예년처럼 2월 말에 오프라인 박람회로 막을 올린 것은 3년 만의 일이다. 올해는 행사를 주최하는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는 전 세계 150개 국가 1500개 이상의 기업(스타트업 포함)이 MWC 2022에 함께 한다고 밝혔다.
매년 행사장을 찾은 소니, 레노버 등이 불참을 선언했지만 국내 대표 기업인 삼성전자와 이동통신 3사를 비롯해 구글, 화웨이, 에릭슨, 노키아 등 모바일 기술 관련 글로벌 기업이 모두 MWC에 참여한다.
특히 지난달 진행된 세계 최대 규모의 정보기술(IT)·가전박람회 ‘CES 2022′에 등장하지 않은 중국 기업들이 MWC에서 신제품과 신기술을 선보인다. 오포, 원플러스, 화웨이에서 독립한 아너 등이 새로운 스마트폰을 공개할 예정이다.
아울러 대세가 된 5G 이후의 시대를 그려보는 시간도 이어진다. 5G는 오랜 시간 MWC 최대 키워드 중 하나였다. 올해는 더 나아가 4세대 이동통신(LTE)망 도움 없이 5G망만 사용하는 단독모드(SA, 옵션2) 등 5G의 미래가 논의될 전망이다. 여기에 인공지능(AI), 메타버스(가상세계), 로봇, 혼합현실(XR) 등 새로운 기술도 만날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삼성전자와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 중견·중소기업 53곳, 스타트업 51곳 등을 포함해 100개 이상의 기업이 MWC에 출격한다. 온라인으로 열린 지난해(76개)보다 많은 수준이다.
그중 삼성전자는 새로운 '갤럭시 북' 라인업을 공개하고 '갤럭시S22' 시리즈에 이용된 어망(폐어망)을 재활용한 기술과 소재를 적극 알린다. 이동통신 3사는 저마다 집중하고 있는 5G 단독망, AI 등의 콘텐츠를 준비, 글로벌 시장 확대와 다른 기업과의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
정부에서는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MWC에 지라힌다. 임 장관은 다음 달 1일 '장관 프로그램(Ministrial Programme)'에서 '모바일 부문의 미래전망(What's next for the Mobile Sector)'을 주제로 열리는 세션에서 기조연설을 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코로나19 여파로 MWC가 축소 개최됐지만 올해는 오프라인 행사를 개최하면서 옛 명성을 되찾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 기업들도 다수 참석하는 만큼 업계 안팎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비즈월드=황재용 기자 / hsoul38@bizw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