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공장설비업체 직원 및 무역중개업체 대표 등 2명 구속기소, 협력업체 대표 등 5명 불구속 기소

특허청(청장 김용래) 기술디자인특별사법경찰과 대전지방검찰청(검사장 노정환)이 반도체‧디스플레이 등의 생산에 쓰이는 첨단설비 중 하나인 OHT(천장대차장치) 관련 기술을 국내 중견기업으로부터 유출시켜 일본 업체를 통해 중국으로 수출하려던 국내 공장설비업체 직원 및 무역중개업체 대표 등 주범 2명을 구속기소하는 등 일당 총 7명을 기소하는 성과를 거뒀다. 표=대전지방검찰청
특허청(청장 김용래) 기술디자인특별사법경찰과 대전지방검찰청(검사장 노정환)이 반도체‧디스플레이 등의 생산에 쓰이는 첨단설비 중 하나인 OHT(천장대차장치) 관련 기술을 국내 중견기업으로부터 유출시켜 일본 업체를 통해 중국으로 수출하려던 국내 공장설비업체 직원 및 무역중개업체 대표 등 주범 2명을 구속기소하는 등 일당 총 7명을 기소하는 성과를 거뒀다. 표=대전지방검찰청

[비즈월드] 특허청(청장 김용래) 기술디자인특별사법경찰(이하 ‘기술경찰’)과 대전지방검찰청(검사장 노정환)이 반도체‧디스플레이 등의 생산에 쓰이는 첨단설비 중 하나인 OHT(천장대차장치) 관련 기술을 국내 중견기업으로부터 유출시켜 일본 업체를 통해 중국으로 수출하려던 국내 공장설비업체 직원 및 무역중개업체 대표 등 주범 2명을 구속기소하는 등 일당 총 7명을 기소하는 성과를 거뒀다.

피해회사는 2020년 매출 1조5500억원을 기록한 코스닥 상장업체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관련 대기업 등에 관련 설비를 납품하고 있다. 

OHT(Overhead Hoist Transfer, 천장대차장치). 참고사진=특허청
OHT(Overhead Hoist Transfer, 천장대차장치). 참고사진=특허청

이번에 피해 대상이 된 OHT(Overhead Hoist Transfer, 천장대차장치)는 정밀도가 높은 소형 반송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과정이 많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생산설비 등에 주로 사용되는 무인반송장치이다. 

특히 반도체 생산라인에서 웨이퍼(Wafer)가 담겨있는 FOUP(Front Opening Unified Pod)를 공정간 이동시키기 위하여 천장 레일을 통해 자동으로 FOUP를 들고 나르는 등의 역할을 하는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 구현을 위한 핵심 이송장치로 꼽히고 있다.

적발된 피고인 甲(A社 기술이사(45세), 구속)은 브로커인 피고인 乙(B社 대표(51세), 구속) 및 피고인 丙(A社 대표(51세), 불구속)과 서로 공모해 피고인 戊(피해회사 협력업체 대표(54세), 불구속)를 통해 OHT 관련 설계도면 등 피해회사의 기술자료를 불법 취득하고, 이를 사용해 OHT 장비 시제품을 제작한 뒤 중국에 반출한 혐의를 받고 있다. 

특허청 기술경찰은 지난 2020년 1월 피해기업의 신고를 받아 수사에 착수한 후 국정원 산업기밀보호센터와 함께 정보를 수집해 피고인들을 특정, 2020년 5월 A사(社)에 대한 압수수색을 벌였다. 

그 과정에서 OHT 관련 영업비밀의 불법유출 및 사용 증거 등을 다량 확보했고, 증거 분석을 통해 이에 가담한 피해회사 직원(피고인 丁, 49세) 및 협력업체 대표(피고인 戊) 등을 추가 입건하는 등 관련자들을 기소의견으로 대전지검에 송치했다.

대전지검은 이후 추가 압수수색 및 보강조사를 통해 산업기술보호법 및 부정경쟁방지법(영업비밀 국외누설 등)위반혐의로 주범 2인(甲, 乙)을 구속 기소하고, 피해회사 직원 및 협력업체 대표 등 5인(丙, 丁, 戊, A社, B社)을 불구속 기소했다. 

이번 사건은 특허청이 지난 2019년 3월 특허‧영업비밀 등 기술유출‧침해 수사를 시작한 이후 처음으로 산업기술‧영업비밀 해외유출 혐의로 송치한 사건이다. 특히 특허범죄중점검찰청인 대전지검의 지휘를 받아 국정원과 협력체계를 이뤄 이끌어낸 최초의 사건이라는 점에 의미가 있다고 특허청 측은 설명했다.

또 우리나라 주력품목 중 하나인 반도체‧디스플레이 생산장비 관련 첨단기술이 해외로 본격 유출되기 직전에 차단함으로써, 약 1000억원 규모의 경제적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었다고 한다.

한편 특허청 기술경찰은 특허‧영업비밀‧디자인 침해범죄 수사를 시작한지 채 3년이 되지 않는 짧은 기간임에도 현재까지 476건의 사건을 맡아 888명을 형사입건(2019년 4월~2021년 11월)하는 등 성과를 거두었고, 이런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 7월에 기술경찰 전담조직을 신설하고 인력도 처음 6명에서 22명으로 보강했다.

이렇게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기술경찰은 벌써 지난해 기준으로 국가 전체 기술침해사건의 약 17.4%(996건 중 173건)를 담당하고 있기도 하다.

기술유출‧침해범죄는 눈에 보이지 않는 기술의 특성상 적발이 어렵고, 적발되어도 기술적 쟁점에 대한 판단이 어려워 처벌로 이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효과적인 수사를 통한 범죄입증을 위해서는 기술적‧법적 전문성은 물론 관련분야에 대한 고도의 판단능력 및 경험이 필요하다.

이에 특허청 기술경찰은 특허심사‧심판경력자는 물론 박사, 변호사, 변리사, 약사 등 다양한 전문성을 가진 전문 수사관을 배치함으로써 신속‧정확한 기술전문수사의 토대를 다지고 있다.

김용래 특허청장은 “기술유출은 우리나라 관련 산업의 붕괴를 유발하고 국가경쟁력을 위협하는 심각한 범죄이다”면서 “앞으로도 기술경찰 조직‧인력‧업무범위 확대 등 수사체계를 정비하고 유관기관과의 공조를 더욱 강화해 국가기술안보의 지킴이 역할을 계속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비즈월드=정영일 기자 / zprki@bizwnew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비즈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