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 가상세계 연수원 오픈 · 멘토링 수료식 진행
우리, 권광석 행장 나서 MZ세대와 소통자리 활용

하나글로벌캠퍼스 그랜드 오프닝 행사에 참여한 박성호 하나은행장(사진 왼쪽에서 6번째 캐릭터 Raul)이 신입행원들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하나은행

[비즈월드] 하나은행·우리은행 등이 3차원 가상세계를 혼합한 공간인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며 디지털 혁신 가능성을 보여줬다.

13일 하나은행은 전날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를 활용해 가상세계에 '하나글로벌캠퍼스' 연수원을 구현한 뒤 그랜드 오프닝 행사와 신입 행원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인 벗바리 활동 수료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가상세계에 선보인 하나글로벌캠퍼스 연수원은 하나금융그룹이 첫 번째로 공개하는 메타버스 공간이다. 지난 2019년 5월 인천 청라에 오픈한 실제 연수원의 구조와 외형을 생생하게 구현해 마치 현실세계의 연수원을 방문한 것과 같은 경험을 제공한다.

하나은행은 올해 신입 행원들이 주도적으로 아이디어를 내 직접 제작에 참여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온라인으로 연수만 받고 실제 연수원에 가보지 못했던 신입 행원들이 '만약 가볼 수 없다면 직접 만들고 경험해 보자'는 MZ세대다운 도전으로 또 하나의 연수원을 만들어냈다는 설명이다.

하나은행은 향후 직원들이 메타버스 연수원 체험과 비대면 소통의 장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자발적인 학습이 이뤄지는 공간으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권광석 우리은행장이 메타버스에 접속해 MZ세대 직원들의 실시간 질문을 받고 있다. 사진=우리은행
 권광석 우리은행장이 메타버스에 접속해 MZ세대 직원들의 실시간 질문을 받고 있다. 사진=우리은행

우리은행도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해 권광석 우리은행장과 MZ세대 직원들이 디지털 마인드 확산과 미래 고객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했다. 가상공간에서 ▲아바타와 친해지기 ▲아이스 브레이킹 게임(MZ 너의 생각이 궁금해·MZ가 우리은행에 바란다) ▲단체 사진 촬영 및 셀카 이벤트 등 MZ세대 직원들이 공감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됐다.

권광석 은행장은 '메타버스 타고 만나는 WOORI-MZ'라는 주제로 함께하며 직접 자신의 캐릭터를 만들어 MZ세대 직원들과 소통했다. 권 행장은 자신을 '전광석화'라는 닉네임으로 부르게 해 은행장과 행원이라는 직급에서 벗어나 MZ세대 직원들과 수평적인 관계로 만났다. 

우리은행은 올해 경영 목표를 'Digital First, Digital Initiative'로 정한 만큼 강력한 디지털 추진 의지를 보이고 있다. 최고경영자(CEO)부터 디지털 기술을 업무 환경에 활용하는 모습을 보이며 금융권 내 디지털 리딩뱅크의 입지를 다진다는 전략이다.

아울러 향후 디지털 최신 트랜드에 빠르게 대응해 전 직원의 적극적인 디지털 마인드를 바탕으로 디지털 혁신에 더 속도를 낼 예정이다.

권광석 은행장은 "MZ세대를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메타버스는 새로운 기회의 영역이 될 것"이라며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직원들에게 메타버스 플랫폼의 활용 기회를 제공하고 메타버스 내에서 구현 가능한 다양한 서비스도 함께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비즈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