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국 의원 “해외기업 상장 시 좋은 기업 선별능력이 과거보다 절실한 때”

국내 주식시장에 상장된 중국기업 등 외국기업 셋 중 한 곳이 상장폐지돼 투자자 피해가 3800억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기업 상장폐지로 인한 투자자 추정 손해액. 표=홍성국 의원실 제공
국내 주식시장에 상장된 중국기업 등 외국기업 셋 중 한 곳이 상장폐지돼 투자자 피해가 3800억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기업 상장폐지로 인한 투자자 추정 손해액. 표=홍성국 의원실 제공

[비즈월드] 국내 주식시장에 상장된 중국기업 등 외국기업 셋 중 한 곳이 상장폐지돼 투자자 피해가 3800억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홍성국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지난 2일 한국거래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국거래소는 지금까지 코스피 시장에 9개, 코스닥시장에 30개 등 총 39개의 해외기업을 상장시켰다.

문제는 코스피시장에 상장된 기업 중 5개 기업이 상장폐지 됐으며, 코스닥시장 9개 등 상장 기업 중 약 36%인 14개의 기업이 이미 상장이 폐지됐다는 것이다. 이들 상장 폐지 기업 중 12개는 중국기업이었다. 대부분 회계 불투명성과 같은 문제가 배경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른 피해액은 3843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미 상장폐지 된 기업 외에도 총 14개의 중국기업이 아직 국내 자본시장에 상장돼 있으며 중국기업이 한국 자본시장에 진출하려는 이유는 미국 나스닥에 비해 장벽이 낮아 진입이 용이하고 중국 시장보다 더 높은 값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홍 의웜은 “거듭되는 상장폐지로 자칫 ‘차이나 포비아’가 확산될 우려가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홍 의원은 “과거에는 중국이나 미국 시장의 상장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한 중국기업들이 한국 시장으로 오는 사례가 많았다”면서 “코리아 디스카운트, 즉 한국 시장의 저평가 현상이 중국기업이 한국에 오는 원인이었다”라고 설명했다.

중국기업들이 해외에 비해 진입 장벽이 낮은 한국 자본시장을 찾은 셈이다.

홍 의원은 “국내 증권사들도 무리한 경쟁으로 기업을 제대로 검증하지 않고 상장시킨 측면이 있다”면서 “그래도 지금은 깐깐하게 심사하는 쪽으로 합리적으로 바뀌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미·중 패권 경쟁, 홍콩의 금융시장 기능 약화 등으로 향후 중국기업의 국내 상장이 늘어날 것이 예상된다”며 “증권사와 한국거래소는 단순히 보여주기식 해외기업 상장이 아닌 좋은 기업을 선별하기 위한 노력을 한층 강화해서 재무제표를 꼼꼼히 살피고 비용을 아끼지 말고 해외기업에 대한 현지실사를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비즈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