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계적인 성과평가·사후관리 필요성 제기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전경. 사진=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전경. 사진=한국보건산업진흥원

[비즈월드] 최근 글로벌 시장에 K-뷰티 기업의 활발한 진출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이를 지원하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실질적인 지원책이 나와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소병훈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지난 22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국정감사에서 "중소화장품 해외진출 지원사업이 한류 붐에 기대 단기 홍보행사로 그치고 있으며 성과평가와 사후관리 체계가 부실하다"고 지적했다.

소 의원에 따르면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2024년 프랑스, 네덜란드, 에스토니아, 미얀마 4개국에서 팝업스토어 형태의 해외진출 사업을 진행했다. 

그러나 대부분 행사가 1~2주짜리 단기 운영에 그쳤고, 참여한 45개 기업 중 2025년에도 수출을 이어간 곳은 28개(약 6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사업은 중견 리딩기업과 중소기업의 컨소시엄 형태로 운영된다. 

중소기업이 리딩기업의 부속으로 참여하면서 독자적인 해외영업이나 마케팅 역량을 키우기 어렵다고 소 의원은 분석했다.

이에 따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중소기업의 독립 진출 역량을 강화하는 별도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측은 “향후 브랜드 마케팅 및 라벨· 규제 대응 컨설팅 등 타 지원 사업과의 연계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K-뷰티 해외진출 사업 진행 이후 사후관리도 부실하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현재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필요에 따라 사업 관련 자료를 요청해 진출 지속 여부를 확인하는 수준의 기본적인 관리만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계약 이후 1~2년 동안의 판매 지속 여부나 재계약률을 추적하는 시스템이 전혀 없어 K-뷰티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소 의원은 “사업이 단기행사로 끝나지 않으려면 성과 유지율과 재계약률을 정례적으로 평가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며, “운영지침을 개정해 사후관리 절차를 제도화해 중소기업이 스스로 수출할 수 있는 힘을 키워주는 구조로 개편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비즈월드=이효정 기자 / bombori61@bizwnew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비즈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