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누적 수출액 87.8조원 달성…전년 동기 대비 20% 가까이 늘어

[비즈월드] SK그룹이 SK하이닉스의 기록적인 반도체 수출 호조에 힘입어 올해 수출액이 역대 최고치인 120조원대를 기록할 전망이다.
SK그룹은 올 3분기까지 수출 실적을 집계한 결과 87조8000억원에 달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수출 실적(73조7000억원) 대비 20% 가까이 성장한 수치다. 이 같은 성장세가 4분기에도 이어질 경우 올해 전체 수출액은 지난해(102조5000억원) 실적을 훌쩍 뛰어넘어 120조원대에 달할 것으로 그룹 측은 전망했다.
SK그룹 수출액이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100조원을 뛰어넘는 것이 확실시되는 배경에는 SK하이닉스의 고대역폭 메모리(HBM) 등 고부가 메모리반도체 수출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지난해 SK하이닉스는 그룹 수출의 54%(55조2000억원)를 견인했으며 올해는 3분기까지 그룹 전체 수출의 65%(56조7000억원)를 차지했다.
특히 SK하이닉스의 수출 실적은 최근 우리나라 전체 수출액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는 데 영향을 줄 만큼 ‘국가 성장 엔진’의 역할을 하고 있다.
정부가 최근 발표한 지난 3분기 우리나라 전체 수출액은 1850억 달러로 관련 통계를 작성한 지난 2010년 이후 최대 규모다. HBM을 포함한 고부가 메모리 반도체 등이 466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체 수출을 이끈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SK하이닉스의 경영 실적은 납세 및 시가총액 증가 등으로 이어지면서 국가 경제 전반에도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실제 SK하이닉스가 올해 3분기까지 낸 법인세만 4조3000억원에 달하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동안 납부한 940억원보다 무려 약 45배가 늘어난 금액이다.
SK하이닉스의 주가 또한 높은 상승세를 이어오며 시가총액이 300조원대를 기록하고 있고현재 시가총액은 지난 24일 종가 기준 379조원으로 국내 기업 중 2번째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
아울러 이처럼 수출과 납세, 시총 등에서 그룹의 국가 경제 기여도가 높아진 것과 관련해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일관되게 추진해 온 사업구조, 재무구조, 지배구조 등 구조개선 노력이 성과를 보이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또 미래 성장사업을 발굴하고 한계사업을 정리하고 하는 한편 적자기업을 턴어라운드 시키는 그룹의 노력이 인정받고 있다.
무엇보다 지난 2012년 SK하이닉스를 인수하면서 에너지와 정보통신(ICT) 중심의 사업구조에 반도체, 인공지능(AI), 바이오 등을 추가한 것이 결정적인 전환점이 됐다는 것이 중론이다.
그룹 관계자는 "최 회장의 진두지휘 아래 SK그룹은 AI·반도체·에너지·바이오 등 미래 성장사업을 중심으로 투자와 고용을 이어가며 국가 경제에 기여하고 있다"며 "오는 2028년까지 국내에 128조원을 투자하고 연간 8000명 이상의 채용 또한 확대한다는 목표"라고 말했다.
[비즈월드=황재용 기자 / hsoul38@bizw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