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세 투입한 장애인 일자리, 집회 수단 악용되지 않게 감독 강화해야”

전장연 소속 장애인이 버스 밑에 들어가 버스운행을 방해하고 있다. 사진=김종길 시의원
전장연 소속 장애인이 버스 밑에 들어가 버스운행을 방해하고 있다. 사진=김종길 시의원

[비즈월드] 지난 2021년 11월, 서울 중랑구의 한 정류장에 버스가 도착하자 휠체어를 탄 중증장애인들이 버스를 막아선다. 이들은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 산하 장애인 공공일자리 참여자들로,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요구하며 이 같은 불법시위를 벌였다.

경찰의 해산 요구에 아랑곳하지 않고 이들은 차도를 점거하고 버스 아래로 들어가 눕는 등 위험천만한 상황을 연출하며 1시간가량 시내버스의 운행을 막았다.

서울특별시의회 교통위원회 김종길(국민의힘, 영등포2)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해당 단체는 이러한 시위행위를 공공일자리의 일환이라며 사업실적으로 서울시에 보고했다. 이런한 행위가 공공일자리로 인정돼 혈세로 조성된 보조금이 지급됐다.

해당 단체는 2021년 한 해 동안 이러한 공공일자리로 중증장애인을 고용했다며 서울시로부터 1억7497만원을 받았다. 서울시는 해당 내용을 인지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이듬해에는 예산을 3억196만원으로 늘려줬고 4년간 총 8억5025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했다.

전장연이 각종 집회 및 불법시위에 ‘권리중심 장애인 공공일자리’ 사업 참여자를 동원한다는 의혹이 있어왔지만 수행단체가 직접 제출한 문건을 통해 물증으로 확인된 것이다.

권리중심 장애인 공공일자리 사업은 당초 중증장애인도 스스로 일할 수 있는 일자리를 만들어 주자는 취지로 도입됐다. 당시 박경석 전장연 대표가 단장을 맡았던 ‘서울형 권리중심 중증 장애인 맞춤형 공공 일자리 협업단’은 2019년 제안서에서 “시장 내 경쟁에서 일자리를 얻지 못해 고용률이 낮은 최중증 장애인에게 우선적으로 일자리를 제공하는 공공일자리를 만들자”며 구체적인 직무로 차별사례 인권위 진정, 재판 방청, 기자회견, 정책토론회, 편의시설 모니터링, 교육활동, 문화예술 활동을 제안했다.

김종길 시의원이 5분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서울시의회
김종길 시의원이 5분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서울시의회

그러나 사업이 진행된 4년간 1만7228건의 활동 실적 중 절반이 넘는 8691건이 집회 참여나 캠페인 활동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장애인의 권익과 인식개선 등에 도움이 되는 편의시설 모니터링, 문화예술 공연·연습 등은 각각 17.2%, 15.4%에 불과했다.  

반면, 서울시의 관리·감독 실태는 부실하기 짝이 없는 상황이다. 연 1회에 불과한 정기점검은 형식적인 감독에 그쳤고, 수행기관의 부실한 활동 내역 보고로 사업실적 증명과 참여자의 근태관리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그 사이 서울시가 사업에 투입한 재원은 4년간 140억6222만원에 이른다. 첫해 11억6212만원이었던 사업 규모는 올해 58억286만원으로 5배 가까이 늘어났다. 

김종길 의원은 “중증장애인도 일할 기회를 주자는 사업 취지에 100% 공감하지만, 그 직무내용이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법에 악용된다면 시민들이 용납할 리 없을 것”이라며 “혈세를 투입한 장애인 공공일자리 사업이 시민의 발목을 잡고, 전장연의 집회 동원 수단으로 이용되지 않도록 서울시의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비즈월드=손진석 기자 / son76153@empas.com]

저작권자 © 비즈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