튜닝시장 활성화 위해 “규제 완화·전문 인력 양성 필요”

지역별 튜닝협체 비율. 자료=한국자동차튜닝협회
지역별 튜닝협체 비율. 자료=한국자동차튜닝협회

[비즈월드] 한국자동차튜닝협회가 자동차 튜닝산업 활성화를 위한 기반 구축을 조성하고 바람직한 중장기적 튜닝산업 발전을 위해 자동차 튜닝 업체 실태 조사를 실시하고 ‘2023 자동차 튜닝부품 품질리포트’를 발간했다.

리포트는 자동차 튜닝산업의 현재 상태와 동향을 파악해 시장을 이해하고 업체 규모, 성장률, 업체간 경쟁 상황, 주요 핵심 매출 근거 및 주요 트렌드를 발굴하는데 기초자료가 되며 튜닝 활성화에 따른 산업 및 일자리 동향을 조사해 연구에 활용된다. 

리포트에는 국내 튜닝산업의 전반적인 현황 파악 및 업체와 종사자 수, 매출액 실태에 대한 분석을 통해 향후 튜닝 관련 육성정책 수립과 발전 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튜닝산업 및 일자리 동향 조사도 포함돼 있다. 

◆ 튜닝업체 경기도 가장 많이 분포… 다음으로 경상남도, 서울, 경상북도 순
 
조사 대상 튜닝업체의 지역별 비율은 경기도 27%, 경상남도 9.7%, 서울특별시와 경상북도가 7.79% 순으로 조사됐다. 전체 조사 지역 중 경기도를 포함한 4개 지역에 52.28%가 분포돼 있다. 

17개 업체 소재지 1578개 업체를 대상으로 한 튜닝업체 실태조사에서 경기도 소재 업체가 426개로 27% 비중을 차지해 가장 많은 기업이 영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 튜닝업체 1578개 업체 중 사업자 소유 업체는 253개사, 임차 1325개사로 조사됐다. 이는 전체 조사 대상 중 임차의 사업장 소유 형태가 대부분인 84%를 차지하고 있다. 전체 조사 튜닝업체를 주식회사, 회사법인, 개인사업체로 구분해 조사한 결과 튜닝업체 대부분은 개인사업체(93.2%)로 운영되고 있었다.

또 전체 조사 튜닝업체를 제조업, 유통업, 서비스업으로 구분해 조사한 결과 서비스업이 769개 48.7%, 제조업 729개 46.2%, 유통업 80개 5.1%로 나타났다. 튜닝업체 대부분(94.9%)은 제조업과 서비업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생산 및 판매하는 전문튜닝 부품 현황. 사진=한국자동차튜닝협회
생산 및 판매하는 전문튜닝 부품 현황. 사진=한국자동차튜닝협회

◆ 전문튜닝부품 전체 2만704건 중 서스펜션 부품 7699건

애프터마켓에서 생산 및 판매하는 부품 중 튜닝부품을 ‘전문 튜닝 부품’과 ‘자동차 용품 및 액세서리’로 구분해 조사한 결과 전문튜닝부품 전체 2만704건 중 서스펜션 부품이 7699건으로 가장 많이 유통되는 튜닝부품으로 조사됐다. 

전체 2만704건의 전문튜닝부품 중 서스펜션 부품이 7699건으로 가장 많았고 퍼포먼스 부품이 7229건으로 서스펜션 부품 다음으로 많이 생산 및 판매되는 전문튜닝 부품이다. 또 전문 튜닝 부품 중 ‘서스펜션 부품’의 경우 조사된 스트럿바, 쇽업쇼바, 스프링, 스테빌라이져바, 완충기, 부싱류 모두 생산 및 판매되는 부품으로 대부분 동일하게 선택됐다.

한편, 자동차 용품 및 액세서리는 전체 3만7310건 중 오일류가 7795건 가장 많이 유통되는 용품이다. 자동차 용품 및 액서사리는 중분류를 자동차 디지털기기, 타이어·휠·체인, 배터리·램프·악세사리 전기용품, 오일류, 세차용품, 보수·관리 용품, 내장용품, 외장용품으로 구분해 조사했다. 

자동차 용품 및 액세서리는 전체 3만7310건 중 가장 많은 용품이 오일류로 7795건이었고, 다음으로 자동차 디지털기기 7664건, 보수·관리용품 7257건 순으로 나타났다. 

자동차 튜닝산업 서비스 매출액 변화추이. 사진=한국자동차튜닝협회
자동차 튜닝산업 서비스 매출액 변화추이. 사진=한국자동차튜닝협회

◆ 튜닝업체 전체 84.3% 종사자 5명 이하 

튜닝업체에 근무하는 종사자는 4~5명 950개 업체(60.2%), 3명 이하 380개 업체(24.1%), 6~9명 210개 업체(13.3%), 10명 이상 38개 업체(2.4%) 순으로 조사됐으며 전체 조사대상 중 1330개 업체(84.3%)가 5명 이하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튜닝업체 분야별 종사자 수 현황은 조사 대상 1578개 업체가 총 7623명을 고용하고 있었으며 분야별로는 생산기술직 56명(0.7%), 연구직 56명(0.7%), 영업직 185명(2.4%), 사무직 2,532명(33.2%), 현장직 4791명(62.8%)이 종사하고 있다.

연령별 종사자 수는 전체 7462명 중 20대 2102명(28.2%), 30대 1807명(24.2%), 40대 1772명(23.1%), 50대 1485명(19.9%), 60대 이상 345명(4.6%)이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사자 중 20대와 30대가 3909명으로 52.4%를 차지하고 있고 일반적으로 종사자 수 비율이 극히 낮은 60대 이상 연령의 종사자도 4.6% 종사하고 있어 타 업종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엔지니어 성격이 강한 업종의 특성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 튜닝산업 업체 수는 코로나19 펜데믹 상황이 절정에 오른 2020년 기준으로 차츰 일상을 회복하면서 증가 추세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서 국내 자동차 튜닝시장이 자동차 애프터마켓 시장변화와 맞물려 일반 유지보수 시장에서 구조변경 등 전문튜닝분야의 수요가 증가되는 추세로 종사자의 필요 수요가 아직은 미미하지만 증가 추이를 보여주고 있다.

자동차 튜닝산업 긍정적(위), 부정적(아래) 전망 비율. 자료=한국자동차튜닝협회
자동차 튜닝산업 긍정적(위), 부정적(아래) 전망 비율. 자료=한국자동차튜닝협회

◆ 자동차 튜닝산업 전망 ‘긍정적’ 응답 86.4%

자동차 튜닝산업에 대한 전망에 대해 긍정적이라는 응답이 1327명, 부정 응답 209명으로 튜닝산업에 대한 86.4%가 향후 긍정적인 전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답했다. 

자동차 튜닝산업 전망이 긍정적인 이유로는 정부의 적극적인 튜닝 활성화 정책과 튜닝을 통한 자동차 성능 향상, 캠핑카 등 자동차 튜닝을 통한 여가 활동 수요 증가를 이유로 들었다. 

자동차 튜닝산업 긍정적 전망 이유 중 ‘정부의 적극적인 튜닝 활성화 정책’이 778건(58.6%), ‘캠핑카 등 자동차 튜닝을 통한 여가 활동 수요 증가’ 308건(23.2%), ‘튜닝을 통한 자동차 성능 향상’이 242건(18.2%) 순으로 응답했다.

특히 긍정적 전망 이유 중 전체의 과반수인 58.6%는 ‘정부의 적극적인 튜닝 활성화 정책’을 선택해 정부의 활성화 정책에 대한 기대가 높다는 것을 나타냈다. 반대로 ‘튜닝을 통한 자동차 성능 향상’은 가장 낮은 응답률을 나타냈다.

한편, 자동차 튜닝산업 전망이 부정적이라는 이유는 자동차 튜닝에 대한 기술력에 대한 신뢰도 부족과 자동차 튜닝에 대한 사회적인 부정적 인식, 정부의 과도한 규제를 꼽았다. 

자동차 튜닝산업 부정적 전망 이유 중 ‘정부의 과도한 규제’가 80건(39.2%), ‘자동차 튜닝에 대한 사회적인 부정적 인식’이 79건(38.7%), ‘자동차 튜닝에 대한 기술력에 대한 신뢰도 부족’이 45건(22.1%) 순으로 응답했다.

부정적 전망 이유 중 전체 응답수의 77.9%(159건)를 차지하는 것이 ‘정부의 과도한 규제’와 ‘자동차 튜닝에 대한 사회적인 부정적 인식’이었다.

자동차 튜닝산업에 대한 긍정과 부정 전망에 대한 응답에 있어 긍정적인 전망이 압도적으로 높아 ‘자동차 튜닝에 대한 사회적인 부정적 인식’이나 ‘정부의 과도한 규제’에 대한 우려도 동시에 업계 종사자들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 튜닝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자료=한국자동차튜닝협회
자동차 튜닝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자료=한국자동차튜닝협회

◆ 자동차 튜닝시장 활성화를 위해 “규제 완화, 전문 인력 양성 필요”

자동차 튜닝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가장 먼저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과반수를 차지했다. 이어 튜닝관련 전문 인력 양성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튜닝 붐 조성을 위한 문화공간 확보, 클러스터(산업단지)등 튜닝산업 인프라 구축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자동차 튜닝시장 활성화를 위한 설문조사 항목 중 ‘규제 완화’는 901건(58.2%), ‘튜닝 붐 조성을 위한 문화공간 확보’는 317건(20.5%), ‘튜닝관련 전문 인력 양성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은 193건(12.5%), ‘클러스터(산업단지)등 튜닝산업 인프라 구축’은 136건(8.8%) 순으로 조사됐다. 

이 중 ‘규제 완화’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건수 중 과반수가 넘는 58.2%를 차지하고 있어 정부 정책에 대한 규제 완화가 무엇보다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즈월드=손진석 기자 / son76153@empas.com]

저작권자 © 비즈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