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환경과학원 '대기분야 숙련도 시험 및 현장 평가' 적합 판정

LG전자가 국립환경과학원의 '대기 분야 숙련도 시험 및 현장 평가'에서 적합 판정을 획득했다. 사진=LG전자
LG전자가 국립환경과학원의 '대기 분야 숙련도 시험 및 현장 평가'에서 적합 판정을 획득했다. 사진=LG전자

[비즈월드] LG전자가 '대기오염' 물질 관리체계를 강화하며 ESG 경영에 박차를 가한다.

LG전자는 최근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의 '대기 분야 숙련도 시험 및 현장 평가'에서 적합 판정을 획득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평가는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의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각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 물질을 철저하게 관리하기 위해 진행됐다.

이번 적합 판정으로 LG전자는 일산화탄소, 염화수소, 황산화물 등 대기오염 물질을 정밀하게 측정하고 이를 관리하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인정받았다. 이는 기존 측정 대행업체가 법적 의무에 따라 진행하던 모니터링을 넘어 자체적으로 생산 전 과정에서의 대기오염 물질을 수시로 분석, 관리할 수 있다는 의미다.

특히 LG전자는 경기도 평택시에 위치한 생산기술원 내 환경시험실(Environmental Pollutants Test Lab)을 구축하고 환경 분석 분야 전문가들을 모아 대기 배출 농도 모니터링 및 측정 신뢰도 확보를 위한 연구를 실시했다.

앞으로 LG전자는 정밀 측정할 수 있는 대기오염 물질의 수를 현재 25종에서 꾸준히 확대하고 더 나아가 수질 분야에서도 자체 측정 능력을 갖춘다는 계획이다.

박평구 LG전자 안전환경그룹장(전무)은 "이번 적합 판정 획득은 환경오염 물질을 자체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능력을 인정받게 된 것"이라며 "이를 토대로 환경사고 예방 및 관리 수준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비즈월드=황재용 기자 / hsoul38@bizwnews.com]

저작권자 © 비즈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