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위기 속 중소기업 경영난 극복 및 사업 확장에 기여

표=특허청
표=특허청

[비즈월드] #1. (IP투자 사례) AI기반 반도체를 생산하는 신생 벤처기업인 F사는 제품 양산 자금이 필요했지만 부동산 등 담보가 부족한 상황으로 추가적인 자금조달이 녹록치 않은 상황이었다. 그러나 지난해 뉴럴 네트워크(인공신경회로망) 특허에 대한 가치평가를 통해 투자기관으로부터 140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했으며, 미래 유니콘 기업으로도 선정되고 후속 투자유치(누적 800억원)에도 성공했다.

#2. (IP담보대출 사례) 전기차용 전해액 제품을 생산하는 중소업체인 E사는 전기차 수요 확대에 따라 사업 확장을 위한 자금이 필요했다. 지난해 리튬 2차 전지용 전해액 제조 특허 2건을 담보로 은행으로부터 57억원을 대출받아 운영자금을 확보했고 11월에는 코스닥 상장에 성공, 생산설비 증설도 추진 중이다.

#3. (IP보증 사례) 신속 진단키트 제품을 생산하는 중소업체인 Z사는 2019년 코로나19로 인한 영업적자로 IP담보대출 및 일반보증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그러나 2021년 보증기관으로부터 진단시스템 특허 2건에 대한 IP보증서를 발급받고 은행으로부터 3억원을 대출받아 진단키트 제품 생산을 위한 원부자재 등을 구매할 수 있었다.

이처럼 지식재산(IP) 금융은 기술과 아이디어는 있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자금이 필요한 기업은 물론 개인에게도 요긴하게 사용된다.

표=특허청
표=특허청

이런 가운데 국내 IP금융 잔액이 사상 최초로 6조원을 돌파해 자금 융통이 어려운 기업 등에 사용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허청(청장 김용래)은 22일, IP금융 잔액이 사상 최초로 6조원(6조90억원)을 돌파했고, 2021년 신규공급은 2조5041억원으로 전년 2조640억원 대비 21.3% 증가했다고 밝혔다. 

IP금융 잔액 6조90억원 중 IP투자는 8628억원, IP담보대출은 1조9315억원, IP보증은 3조2147억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신규공급 2조5041억원 중 IP투자는 6088억원, IP담보대출은 1조508억원, IP보증은 8445억원이 공급됐다고 한다.

항목별로 보면 먼저 ‘IP투자’는 지난해 우수IP 보유기업 또는 IP에 직접 투자한 신규 투자액이 전년 대비 2.3배 늘어 6088억원으로 급증했다. 

신규 IP투자액이 증가한 이유에 대해 특허청 측은 “2021년 모태펀드 500억원 출자를 통해 7개 子조합(2565억원 규모) 조성을 확대하고 벤처캐피탈 등과 협력을 강화해 우수 특허 보유기업에 대한 투자를 활성화한 결과이다”라고 설명했다.

또 미래차‧반도체‧바이오와 같은 BIG3 분야 특허보유 기업에 대한 투자액이 55.2%(3358억원)를 차지해 IP투자가 혁신 중소기업의 자금조달 수단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P투자에 참여한 투자기관도 2020년 50개사에서 지난해에는 69개사로 늘어나는 등 증가하는 등 IP투자에 대한 투자기관 인식도 높아졌다.

또 ‘IP담보대출’의 경우 2021년 IP를 담보로 대출을 실행한 신규 대출액은 1조508억원으로 전년과 같이 1조원 대를 유지했다.

IP담보대출 취급은행은 2018년 산업은행·기업은행 등 두 곳에서 2019년과 2020년에는 농협·신한은행·우리은행·하나은행·국민은행·부산은행 등이 추가됐으며 지난해에는 대구은행과 경남은행과 같은 주요 지방은행까지 합세해 총 10개 은행이 현재 취급하고 있다.

또 IP담보대출 기업에 대한(1390개사) 조사 결과, 신용등급이 높지 않은 기업(BB+등급 이하)에 대한 대출이 77.7%에 달해 우수IP를 보유한 저신용기업 위주로 자금이 조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P담보대출 금리는 2~3% 내외가 다수로, 평균 4~5% 대인 신용대출 금리보다 낮고, 대출금액도 신용대출 대비 상향(3억원 이상 상향된 경우가 52.1%)되어, 기업 부담을 덜어주고 사업 운영자금을 추가 확보하는 데도 도움을 준 것으로 조사됐다고 한다.

‘IP보증’의 경우 2021년 우리 기업들이 IP를 기반으로 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서울신용보증재단에서 발급받은 신규 IP보증액은 전년 대비 19.1% 증가한 8445억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보증기관이 운영하는 IP보증의 경우, 일반보증 또는 IP담보대출을 이용하기 어려운 창업 초기기업 등이 활용하고 있으며, 보증비율 우대(90~100%) 및 보증료 감면(0.2~0.5%p) 등의 추가 혜택도 주어졌다.

정연우 특허청 산업재산정책국장은 “코로나19 위기 속에서도 우수IP를 보유한 중소기업은 IP가치를 기반으로 자금을 조달하여 경영난을 극복하고 사업 확장에 나서고 있다”면서 “올해는 IP가치평가 비용지원 확대 및 지역기업‧창업기업을 위한 IP투자펀드 조성을 통해 청년창업기업과 지역중소기업에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비즈월드=정영일 기자 / zprki@bizwnew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비즈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