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특허청에 따르면 돌봄 로봇 분야의 특허 출원은 2010~2012년에는 연평균 37건에 불과했다. 그러나 2013~2015년에는 연평균 50여건, 최근 3년 동안은 연평균 72여건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참고 사진=특허청 제공
특허청에 따르면 돌봄 로봇 분야의 특허 출원은 2010~2012년에는 연평균 37건에 불과했다. 그러나 2013~2015년에는 연평균 50여건, 최근 3년 동안은 연평균 72여건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참고 사진=특허청 제공

[비즈월드] #. “산책에서 돌아오면 로봇이 휠체어에 앉아있는 어르신을 번쩍 들어 조심스럽게 침대에 다시 눕힌다. 식사 시간에는 식판의 밥과 반찬을 집어서 드리고 시간에 맞춰 약 봉지를 가져다 놓는다.”

우리나라는 오는 2025년에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를 차지하는 ‘초고령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돌봄 로봇을 사용하는 모습이 머지않아 현실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를 반영하듯 돌봄 로봇 관련 특허 출원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표=특허청 제공
표=특허청 제공

비즈월드가 특허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 돌봄 로봇 분야의 특허 출원은 2010~2012년에는 연평균 37건에 불과했습니다. 그러나 2013~2015년에는 연평균 50여건, 최근 3년 동안은 연평균 72여건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했습니다.

이런 추세는 인구 구조의 변화와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등과 접목한 관련 기술의 발전 영향으로 앞으로 해당 분야 출원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표=특허청 제공
표=특허청 제공

지난 2010년부터 최근 9년 동안 특허 출원인을 유형별로 보면 대학‧연구소(38%), 중소‧중견기업(27%), 외국기업(17%), 개인(9%), 대기업(9%) 순으로, 연구기관과 중소기업의 출원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습니다.

이에 대해 특허청 측은 “빠른 고령화 속도에 비해 돌봄 로봇 시장이 아직 초기단계이고, 연구기관과 스타트업(start-up) 중심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음을 나타낸다”라고 설명했습니다.

표=특허청 제공
표=특허청 제공

같은 기간 분야별 출원건수는 식사‧이승 보조와 같은 일상생활 지원(40%), 혈당‧혈압 관리와 같은 건강 관리(27%), 재활 지원(10%) 순이었습니다.

한편 정부는 돌봄 로봇의 보급과 확산을 뒷받침하기 위해 최근 돌봄 로봇을 4대 유망 서비스 로봇 분야(돌봄·의료·물류·착용형) 중 하나로 선정해 관련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있으며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한 돌봄 로봇 보급 사업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에 맞춰 특허청도 국내기업의 특허권 연계 연구개발 전략수립(IP-R&D) 지원, 관련 선행기술 정보를 제공하는 IP 서비스기업 육성 및 각종 로봇 경진대회의 후원을 통해 로봇기술 관련 국내 기업의 특허 창출 역량 강화와 인재 양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허청 로봇자동화심사과 관계자는 “로봇 기술의 적용 범위가 고령자 돌봄까지 확대됨에 따라 어르신의 삶의 질 향상과 미래 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돌봄 로봇 시장은 향후 성장 가능성이 매우 높은데 반해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으므로, 비지니스 모델과 제품을 연계하여 특허전략을 수립하고 지식재산권의 조기 확보를 통해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했습니다.

저작권자 © 비즈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