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기업의 해외진출 역량강화를 위한 지식재산(IP) 보호전략 모색
美 IP 정책 변화와 동아시아 지역 IP 보호전략 공유

지식재산처(처장 김용선)는 11일 오후 엘타워(서울시 서초구)에서 ‘2025 해외진출을 위한 지식재산(IP) 보호전략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서을수 지식재산처 특허심판원장(앞줄 왼쪽에서 다섯 번째)이 ‘2025 해외진출을 위한 지식재산(IP) 보호전략 세미나’를 마치고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지식재산처
지식재산처(처장 김용선)는 11일 오후 엘타워(서울시 서초구)에서 ‘2025 해외진출을 위한 지식재산(IP) 보호전략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서을수 지식재산처 특허심판원장(앞줄 왼쪽에서 다섯 번째)이 ‘2025 해외진출을 위한 지식재산(IP) 보호전략 세미나’를 마치고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지식재산처

[비즈월드] 지식재산처(처장 김용선)는 11일 오후 엘타워(서울시 서초구)에서 ‘2025 해외진출을 위한 지식재산(IP) 보호전략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해외시장 진출기업이 직면하는 글로벌 IP 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글로벌 IP 정책·제도와 보호전략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고 한다.

특히 미국·동아시아 지역 등 주요 교역국의 분쟁 동향을 점검해 수출기업의 해외 IP 분쟁 예방 및 대응 역량 강화를 지원했다.

최근 미국 내에서는 AI·신흥기술 관련 산업을 중심으로 특허심사 및 소송 제도의 변화, 지식재산 침해에 대한 안보·무역 이슈 연계 강화 등 정책 변화가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또한 동아시아 국가는 IP 제도를 고도화하며 지역 내 IP 경쟁력 확보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이번 세미나는 주요 국가 정책·제도 변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우리 수출기업이 실무적으로 준비할 수 있는 보호전략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고 구성됐다고 지식재산처는 설명했다 

강연에서는 국내외 법률전문가 및 산업계 전문가가 ❶글로벌 특허 분쟁 환경과 정책리스크 ❷소송 증거 역량의 중요성 ❸동아시아 지역에서의 영업비밀·브랜드 보호전략을 공유했다는 것이다.

서을수 특허심판원장은 “AI와 친환경 기술의 확산, 지정학적 리스크 등 급변하는 기술 환경과 국제 정세 속에서 글로벌 IP 정책과 제도 역시 유례없이 빠르고 복합적으로 진화하고 있다”며 “지식재산처는 이런 변화 속에서도 우리 기업들이 선제적인 대응 전략으로 기술과 브랜드를 지키며 해외 시장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IP 보호체계와 지원정책을 계속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비즈월드=정영일 기자 / zprki@bizwnews.com]

저작권자 © 비즈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