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 실험실에서 작물 상태를 확인하는 모습. 사진=롯데건설
스마트팜 실험실에서 작물 상태를 확인하는 모습. 사진=롯데건설

[비즈월드] 롯데건설(대표 하석주)이 건물용 수소연료전지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2)를 공동주택 단지 스마트팜으로 공급하는 기술을 만든다고 21일 밝혔다.

국내 공동주택에서 활용되는 수소연료전지는 대부분 도시가스를 이용해 수소를 얻고 있으며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

롯데건설은 수소연료전지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 전기, 열에너지 등의 부산물을 공동주택 스마트팜에 공급하는 기술을 개발한다. 고농도 이산화탄소를 스마트팜에 공급해 재배 속도를 올릴 수 있고 배출량을 저감해 환경에도 좋다.

왼쪽부터 일반 환경에서 자란 작물과 고농도 이산화탄소를 공급한 작물. 사진=롯데건설
왼쪽부터 일반 환경에서 자란 작물과 고농도 이산화탄소를 공급한 작물. 사진=롯데건설

기술개발에는 수소연료전지 전문기업 에스퓨얼셀,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등 6개 기업·기관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참여한다.

회사는 올해 말까지 스마트팜 기술과 관련한 특허 2건을 출원하고, 내년부터 실제 모니터링을 수행할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생활 밀착형 ESG 기술의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입주민들에게 다양한 주거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비즈월드=나영찬 기자 / na@bizwnew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비즈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