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설립 이후 50여 개사 투자…첫 투자부터 매각까지 평균 5.6년 소요
장기 보유 중이지만 수익성 악화된 경우도 존재…제조사 인수 후에는 경영난, 투자금 손실도
포트폴리오 중 제조업권 투자 비중 현저히 낮아…고려아연 산업속성 파악 한계 지적

사진=MBK파트너스
사진=MBK파트너스

[비즈월드] 고려아연에 대한 적대적 M&A를 시도하고 있는 MBK파트너스가 그동안 기업에 투자를 한 뒤 매각까지 평균 5.6년이 걸렸다는 점이 업계 안팎에서 주목받고 있다. MBK는 영풍과 고려아연 인수를 추진하면서 '최소 10년간 매각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그간의 투자 행보를 보면 장기 보유 약속이 '공염불'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 쏟아지고 있다.

금융투자업계와 MBK 홈페이지에 따르면 MBK가 기업에 첫 투자를 단행한 이래 매각에 성공하기까지 소요된 기간은 평균 5.6년(66.5개월)이었다. 

MBK는 2005년 설립 후 총 52개사에 투자했다. 모두 동북아 권역에서 자금을 집행했는데 국내 시장에서 가장 활발했다. 한국 기업이 25개사(48.1%)로 최다 비중을 차지했고 중국(홍콩 포함) 기업이 13곳(25.0%)으로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일본 12개사(23.1%), 대만 2개사(3.9%) 등에 자금을 투입했다.

이런 가운데 MBK가 고려아연을 인수할 경우 중국 등 해외 자본에 단기에 매각할 거라는 업계의 우려가 커지자 MBK 측은 최소 10년간 매각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그러나 재계와 관련 업계 등은 상반된 입장이다. 국가기간산업이라는 특수성을 감안해 장기적 관점에서 경영해야 하지만 그동안 단기 투자와 자금 회수에 급급했던 MBK가 제대로 된 경영능력을 발휘할 수 있겠냐는 의구심이 큰 상황이다. 특히 MBK의 투자 이력을 보면 매각하지 않겠다는 MBK의 행보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에 힘이 실리고 있다.

이와 관련해 한 투자은행(IB)업계 관계자는 "최근 MBK가 고려아연을 인수하더라도 지분을 장기간 보유할 뜻을 피력했지만 평균 5년 만에 투자금을 회수해 왔던 실증 결과와는 정면으로 배치된다는 점에서 시중의 우려를 불식하기 위해 내놓은 지키지 못할 약속이라는 지적이 나온다"고 말했다.

이어 "무엇보다 연기금, 금융기관 등 펀드 출자자들이 단기 엑시트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점 등을 감안하면 MBK의 고려아연 최소 10년 보유 약속을 신뢰하기는 어렵다"고 꼬집었다.

아울러 MBK의 전문성에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까지 MBK가 엑시트(투자금 회수)에 성공한 사례는 20건(38.5%), 미회수(원금 손실 1건 포함) 사례는 32건(61.5%)으로 집계됐다. 투자 시점으로부터 3년이 경과했으나 회수하지 못한 기업은 국내외를 통틀어 17개사(32.7%)에 달한다.

한국 포트폴리오 25개 업체 가운데는 8개사의 경우 회수에 장기간 어려움을 겪고 있다. 통상적으로 사모펀드가 투자 후 3년이 지난 시점부터 원매자 태핑(수요조사)에 나서며 매각을 추진하는 특성을 감안하면 MBK의 회수 성과가 부진하다는 것이 업계 평가다.

특히 업계에서는 MBK가 제조업 관련 경영 전문성이 미흡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철제 구조물 생산 전문기업에 대한 투자 실패 사례가 회자되는데 애초 이 기업은 국내 강구조물 시공능력 평가 6년 연속 1위에 오를 만큼 경쟁력이 뛰었다. 그렇지만 무리한 해외 수주 기조에 따른 운전자금 소진과 원청 기업의 플랜트 사업 수익성 부진에 따른 유동성 악화 등으로 경영난에 시달렸다. 결국 이후 법정관리를 신청하는 수순으로 이어졌다.

MBK가 투자한 포트폴리오 업종 분류만 살펴도 제조업권에 속한 회사는 5개사(9.6%)에 그친다.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분야는 의료·헬스케어로 52개사 가운데 9개 업체(17.3%)다. 금융업과 물류·유통 섹터에 속한 기업이 각 6개사(11.5%)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MBK의 단기 투자에 따른 부작용은 최근 고려아연 임시주주총회를 앞두고 발표된 여러 의결권 자문사들의 보고서에서도 나와 있다.

글래스루이스의 경우 "반대 그룹(MBK·영풍)은 투자를 축소함으로써 자본 효율성을 개선하고 더 즉각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할 수 있지만 이런 접근은 트로이카 드라이브 전략을 목표로 하는 장기적 가치 창출과 경쟁력 있는 위치 확보를 놓칠 위험이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서스틴베스트 역시 "MBK 제공 자료 등에 따르면 투자부터 회수까지의 기간은 3~6년 정도였다. 고려아연이 속한 비철금속산업은 자본집약적 산업으로 투자 자본 회수에 장기간이 소요된다"고 말했다.

이어 "재무적 효율성을 강조하는 MBK의 기존 투자 전력과 운영 방식에 비춰 볼 때 MBK 측이 회사 본업에 있어 기존 경영진을 대체할 정도로 더 나은 경영능력을 갖고 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고 강조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MBK가 고려아연에 대해 장기간 지분 보유를 공언하고 있지만 실제 투자·회수 트랙레코드(Track Record)를 살피면 단기간에 매각할 가능성이 농후하다"며 "제조업과 기술전문기업을 둘러싼 투자 경험 역시 부족한 만큼 비철금속 제련업을 영위하는 고려아연의 산업 속성을 얼마나 잘 이해할지도 의문"이라고 토로했다.

[비즈월드=황재용 기자 / hsoul38@bizwnews.com]

저작권자 © 비즈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