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위협에 선제적 대응…지속적인 혁신·투자를 통해 스마트하고 안전한 디지털 환경 조성 

인천시(시장 유정복)가 디지털 환경의 안전성을 강화하고 사이버 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현재 운영 중인 ‘지능형 사이버위협 자동 대응 체계’를 안정화하고 오는 2026년 4월까지 구축 대상기관을 확대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표=인천시
인천시(시장 유정복)가 디지털 환경의 안전성을 강화하고 사이버 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현재 운영 중인 ‘지능형 사이버위협 자동 대응 체계’를 안정화하고 오는 2026년 4월까지 구축 대상기관을 확대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표=인천시

[비즈월드] 인천시(시장 유정복)가 디지털 환경의 안전성을 강화하고 사이버 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현재 운영 중인 ‘지능형 사이버위협 자동 대응 체계’를 안정화하고 오는 2026년 4월까지 구축 대상기관을 확대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인천시는 오는 2025년부터 지능형 사이버위협 자동 대응 체계의 구축 대상을 산하 12개의 출자·출연기관으로 확대한는 계획이다. 2025년에는 수요조사를 통해 대상 기관을 선정하고 2026년부터 단계적으로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이다. 

12개 출연기관은 인천광역시의료원, 인천연구원, 인천신용보증재단, 인천테크노파크, 인천문화재단, 인천글로벌캠퍼스운영재단, 인천여성가족재단, 인천인재평생교육진흥원,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인천스마트시티㈜, 인천투자펀드, 인천종합에너지㈜ 등이다.

여기서 ‘지능형 사이버위협 자동 대응 체계’란 사이버 공격이 발생했을 때 이를 신속히 탐지하고 분석해 적절한 대응 과정을 자동화하고 통합 관리하는 최첨단 보안 시스템이다.

해당 시스템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공공기관의 정보자산과 시민의 디지털 안전을 보호하는 데 기여한다.

인천시는 올해 본청과 산하 공사·공단을 대상으로 이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사업은 인천시 누리집, 재난정보망, 교통정보망 등 10개 기관의 16개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실시간 위협 탐지와 자동 대응 체계를 통해 보안 역량을 강화했다고 한다.

인천시 측은 앞으로도 정보보안 분야에서 지속적인 혁신과 투자를 통해 스마트하고 안전한 디지털 환경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정보 유출과 사이버 위협 피해를 예방하고 시민 신뢰를 높이며 디지털 안전 도시로서의 위상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천준호 인천시 기획조정실장은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사이버 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인천시는 최첨단 보안 기술을 적극 도입하고 확대할 예정이다”라며 “특히 지능형 사이버위협 자동 대응 체계는 공공기관뿐 아니라 시민의 디지털 안전을 보호하는 데도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월드=정재훈 기자 / zprki@bizwnews.com]

저작권자 © 비즈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