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V선호 지속으로 전년대비 10.8% 증가한 82만4000대 판매해 55.3% 점유
수입차, 전년대비 4.8% 감소하며 판매비중은 16.9%로 1.6% 포인트 ↓

2023년 자동차 내수판매 규모(대수 및 금액). 자료=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2023년 자동차 내수판매 규모(대수 및 금액). 자료=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비즈월드] 2023년 자동차 신규등록 대수는 부품수급이 정상화되며 전년대비 3.9% 반등했으나, 고금리 등 경기 여건 및 소비심리 위축으로 팬데믹 이전 수준에는 미치지 못했다. 그러나 취득금액으로는 전기동력차 및 고급차 선호 증가 등에 힘입어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는 지난 15일 ‘2023년 자동차 신규등록 현황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자동차 신규등록 대수는 2023년 174만9000대로 3.9% 증가했고, 취득금액으로는 73조6000억원에서 6.6% 증가한 78조5000억원을 기록했다.

국산차는 생산 정상화에 따른 출고 확대로 전년 대비 5.9% 증가한 반면 수입차는 4.8% 감소했다. 그러나 취득금액으로는 국산차와 수입차 모두 전년 대비 각각 8.8%, 2.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입차는 2022년 최대 시장점유율(18.5%)을 기록한 역기저효과와 국산 고급모델의 인기,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전년대비 4.8% 감소한 29만6000대로 시장점유율은 16.9%로 1.6% 포인트 축소됐다.

2023년 하반기 이후 대기수요 소진으로 신차 및 중고차 모두 판매가 둔화됐지만, 취득가 평균은 상승세를 보여 양극화 양상이 나타났다. 특히 취득가 평균은 고급차 중심 법인차 선수요 등으로 연말 크게 증가했다.

2023년 자동차 내수시장 주요 특징으로는 먼저 승용차 판매에 있어 반도체 수급 차질로 발생한 이연 수요 해소와 SUV 판매량 역대 최대치 기록 등으로 전년 대비 4.8% 증가했다. 그러나 상용차는 경기 부진, 고금리에 따른 투자 심리 위축 등으로 전년비 1.1% 감소했다. 

세단 등 일반형은 SUV 선호 심화 등으로 전년 대비 1.7% 감소했고, SUV 등 다목적형은 국산 볼륨모델 및 전기차 신차 등 선택폭 확대로 상승세를 이어가며 전년비 10.8% 증가한 82만4000대가 판매되며 역대 최대 판매 기록을 갱신했다.  

한편, 내연기관차 감소는 가속화되고 있으며, 하이브리드차 증가세는 확대되는 가운데, 전기차 성장세가 주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기차는 얼리어답터 시장에서 대중 소비시장으로 전환되며 소비여건 위축과 차량 화재 등 안전성의 문제로 성장이 정체되어 16만2000대로 1.1% 감소하면서 전년수준이었고, 수소전기차는 54.4% 감소한 4707대가 판매됐다.

2023년 자동차 동력원별 신규등록. 자료=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2023년 자동차 동력원별 신규등록. 자료=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하지만 하이브리드차(FHEV, PHEV, MHEV)는 국산 인기모델 대부분에서 선택이 가능해지며 전년대비 42.5% 증가한 39만1000대가 판매되어 시장점유율도 전년도 16.3%에서 22.3%로 성장하며 전체 전기동력차 시장의 성장을 견인했다. 

내연기관차(휘발유, 경유, LPG)는 휘발유차 이외에는 모두 감소폭이 확대되며 신차 시장에서의 비중이 67.7%로 하락하며 시장축소가 가속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경유차의 경우는 국산 세단모델 단종 등으로 대형 SUV에서만 수요가 유지되어 승용차 시장에서의 판매 비중이 7%까지 하락했으며, LPG차는 모든 차종에서 판매가 감소해 전년대비 21.9% 감소됐다.

수입차 판매는 소비심리 위축과 국산 고급모델 인기, 전년도 기저효과 등으로 전년 대비 4.8% 감소한 29만6000대가 판매됐다.

주요 브랜드 중에서는 일본계 브랜드 판매가 4년만에 전년 대비 35.5% 증가했으나 독일계와 미국계 브랜드는 전년 대비 6.4%, 17% 감소했으며, 주요 원산지 별로는 일본산 57.6%, 중국산이 107.3% 증가했다. 

특히 중국산 수입차는 전기상용차 및 유럽과 미국 브랜드의 전기 승용차 모델 등이 확대되며 전년에 이어 2배 이상 증가한 107.3%로 2만6000대가 판매됐고, 수입국 중 독일·미국산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이외 특징으로는 구매 주체별로 개인 승용차 구매는 10.1% 증가, 법인·사업자의 승용차 구매는 6.1% 감소했다. 그러나 정책변경의 선수요 효과로 비사업용(법인업무용) 승용차는 2023년 4분기부터 판매가 급증하며 전년 수준인 18만대 규모를 유지했다.

강남훈 KAMA 회장은 “견조했던 자동차 수요도 할부금리 급등 여파로 구매계약 취소, 중고차거래 감소 전환 등 2023년 하반기 이후 수요가 둔화되고 있다”며 “특히 하이브리드차, SUV 등 일부 차종 이외에는 수요가 살아나지 못하고, 그동안 높은 성장세로 신차 수요에 기여하던 전기차도 일시적으로 고성장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있어 내수 활성화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강 회장은 “지속 증가세인 노후차에 대한 교체 지원 및 올해 일몰 예정인 전기동력차 구매시 세제 감면 지속을 통해 친환경차 중심의 수요가 지속되도록 지원 유지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비즈월드=손진석 기자 / son76153@empas.com]

저작권자 © 비즈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