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태엽 한국노인복지중앙회 회장이 성명서를 낭독하고 있다. 사진=한국노인복지중앙회
권태엽 한국노인복지중앙회 회장이 성명서를 낭독하고 있다. 사진=한국노인복지중앙회

[비즈월드] 권태엽 노인복지중앙회 회장이 보건복지부의 간병비 급여화에 대해 “표면적으로는 ‘국민편의 제고’라는 말로 포장하지만 이는 결국 국민들의 간병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추가적인 재원 지출을 강요하는 것으로 국가재정을 위협할 뿐”이라고 비판했다. 

한국노인복지중앙회 권태엽회장을 비롯한 보건복지부 장기요양 법정 4단체장들은 21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더불어민주당에서 제기한 ‘요양병원 간병비 급여화’ 추진 방침에 대해 공식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이에 반대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조남범 한국재가노인복지협회 회장은 “요양병원 간병비의 건강보험 급여화가 국민건강보험 재정 악화는 물론 출범 15주년을 맞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존재 이유를 무색하게 해 결국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와해시킬 것”이라고 반대입장을 설명했다.

박원 한국노인장기요양기관협회 회장이 성명서를 낭독하고 있다. 사진=한국노인복지중앙회
박원 한국노인장기요양기관협회 회장이 성명서를 낭독하고 있다. 사진=한국노인복지중앙회

박원 한국노인장기요양기관협회 회장도 “이미 장기요양등급을 받고도 장기요양급여 서비스 이용하지 않는 노인 14만5000명의 32.6%(4만7000명)가, 3등급 이하 판정자 12만1000명의 24.7%(3만명)가 요양병원에 입원하고 있다”며 요양병원 간병비 급여화의 부당성의 근거로 제시했다.

최장선 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 회장은 “간병비 급여화야말로 ‘표를 구걸하는 표퓰리즘’에 불과하며 이를 추진할 경우 ‘표’는 연기처럼 사라질 것”이라며 “국민의 간병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제도가 있음에도 건보재정과 관련 제도의 존립을 위협하는 방식을 고집하는 것은 정책입안자로서의 올바른 인식이 아님을 엄중 경고한다”고 비판했다.

최장선 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 회장이 성명서를 낭독하고 있다. 사진=한국노인복지중앙회
최장선 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 회장이 성명서를 낭독하고 있다. 사진=한국노인복지중앙회

권태엽 한국노인복지중앙회 회장은 “초고령 사회에 늘어나는 노인을 ‘표밭 갈기’, ‘돈벌이 수단’으로 삼으려는 이런 정책은 반드시 멈춰야 한다”며 “OECD 여러 국가들과 달리 요양병원 병상 수가 요양시설의 침상수를 압도하고 있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으며 이는 결국 요양시설에서 요양서비스를 받아야할 노인들이 요양병원에서 불필요한 의료서비스를 받는 등 과잉의료에 따른 재정낭비의 원인이 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권 회장은 “오히려 건강보험공단의 월권적 행태를 통제하는 등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노인 세대를 위한, 미래세대를 위한, 국민 모두를 위한 정상적인 제도로 재설계하는데 매진할 것을 보건복지부 법정 4개 단체의 이름으로 촉구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최근 5년 동안 요양병원 병상수와 장기요양기관의 침상수의 증가추이를 보면 여전히 입소 노인들이 활용하는 침상수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도 정치권의 ‘요양병원 간병비 급여화’ 시도가 논란을 일으켜 왔다. 지난해 10월에는 강기윤 의원 주최의 토론회가 발제도 못한 채 무산된 바 있으며, 지난 8월에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과 여야 간사가 공동주최한 토론회에서 요양병원 측과 장기요양기관 양측이 충돌하는 갈등 상황이 연출된 바 있다. 

[비즈월드=손진석 기자 / son76153@empas.com]

저작권자 © 비즈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