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폐차·저감장치 부착·엔진교체·신차구입 등 지원
조기폐차, 올해부터 4등급 경유차·지게차·굴착기까지 대상 확대 

인천시가 2023년 운행차 배출가스 저감사업에 257억원을 투입한다. 사진=인천광역시 제공
인천시가 2023년 운행차 배출가스 저감사업에 257억원을 투입한다. 사진=인천광역시 제공

[비즈월드] 인천시가 2023년 운행차 배출가스 저감사업에 257억원을 투입한다.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4·5등급 경유차 등 조기폐차 8029대, 5등급 경유차 등 저감장치(DPF) 부착 202대, 건설기계 저감장치 부착 및 엔진교체 54대, LPG화물차 신차구입 133대 등 총 8418대를 지원해 미세먼지와 질소산화물 등 대기오염물질을 줄일 계획이라고 2일 밝혔다.

특히 지난해까지 배출가스 5등급 경유차와 도로용 3종 건설기계(덤프트럭·콘크리트펌프·콘크리트믹서트럭)만 지원해 왔던 조기폐차 대상을 올해는 4등급 경유차(출고 당시 저감장치가 달려있는 차량 제외)와 지게차, 굴착기까지 확대했다. 

5등급 경유차에 저감장치를 부착할 경우 부착비용의 90%를, 건설기계(덤프트럭)저감장치 부착 및 건설기계(지게차·굴착기·로더·롤러) 엔진 교체 때에는 비용 전액(100%)을 지원한다. 다만, 보조금을 지원받은 경우 2년 동안의 의무운행 기간 내에 폐차 또는 차량 말소 때 보조금이 회수될 수 있다.

또 5등급 경유차 등에 저감장치를 부착하면 환경개선부담금을 3년 동안 면제해주고, 부착 후 한국교통안전공단으로부터 성능유지 확인검사를 받은 경우 3년 동안 배출가스 정밀검사가 면제되는 혜택이 주어진다. 

운행차 배출가스 저감사업 지원은 지난 2월 27일부터 자동차 배출가스 누리집(www.mecar.or.kr)을 통해 회원가입 후 신청할 수 있으며, 자세한 사업 내용은 인천시 홈페이지(www.incheon.or.kr) 고시공고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인수 인천시 환경국장은 “저감장치(DPF) 부착 시 미세먼지가 80% 이상, 엔진교체 때 최대 91%, 폐차 때는 100% 저감되는 만큼 앞으로도 사업을 확대할 것이다”면서 “시민들이 맑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는 대기환경을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2004년부터 저감사업을 추진한 인천시는 지난해까지 5등급 경유차 조기폐차 11만대, 저감장치 부착 9만대, 기타 3만대 등 총 23만대 6697억원을 지원해 지난해 말 기준 인천시 5등급 경유차(운행차 기준) 저공해 조치를 92% 달성했다. 미조치된 5등급 경유차는 등록된 차량 5만137대 중 4226대다.

[비즈월드=정영일 기자 / zprki@bizwnew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비즈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