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 연구원들이 차세대 지능형 헤드램프 시스템의 배광성능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현대모비스
현대모비스 연구원들이 차세대 지능형 헤드램프 시스템의 배광성능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현대모비스

[비즈월드] ◆ 현대모비스, 지난해 첨단 자동차램프 글로벌 수주 1조원 돌파

현대모비스는 지난해 유럽 완성차 메이커와 신생 전기차 업체 등 글로벌 시장에서 고객다변화를 통해 자동차램프 부문에서만 1조원이 넘는 글로벌 수주를 달성했다고 23일 밝혔다.  

현대모비스는 핵심 부품에서 전장품에 이르는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통해 지난해 총 25억달러(한화 약 3조원)의 해외수주를 달성한 바 있다. 이 중 1/3 정도를 고부가가치 램프 제품이 견인한 것이다.

현대모비스는 여러 글로벌 완성차 메이커로 첨단 자동차램프 수주를 확대하면서 이 분야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했다. 특히 매트릭스 빔 헤드램프, 고성능 리어램프 등 고부가가치 제품군 위주로 수주를 진행한 것도 특징이다.

현대모비스의 램프 해외 수주를 확대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글로벌 수준의 기술경쟁력이 있다. 실제로 현대모비스는 차량의 ADAS(첨단운전자 지원시스템)와 연계되는 AADB(Advanced Adaptive Driving Beam) 그리고 5.5㎜의 두께로 정지등과 후미등을 하나의 램프로 구현하는 HLED 등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는 등 차세대 램프 기술을 선도하면서 브랜드 위상을 높이고 있다.

글로벌 자동차램프 시장에서 현대모비스는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차세대 램프 기술 개발에도 나서고 있다. 올해는 ADAS연계형, 슬림화 및 디자인 차별화, 제어기 통합 등 램프 신기술 과제를 비롯해 미래 모빌리티에 특화된 요소를 반영한 프리미엄 제품 개발에 집중할 방침이다. 

노면정보 표시가 가능한 HD 헤드램프 시스템과 디지털 램프 시스템 개발이 대표적이다. 이는 미래 자율주행 시대 트랜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램프를 통해 의사 소통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형 램프 기술 구현이 핵심이다.

이와 함께 전기차 전용 모델에 특화된 그릴 라이팅 기술과 램프의 다양한 신호를 통합 제어하는 기술 등 차별화된 램프 기술도 선보일 예정이다. 

현대모비스의 악셀마슈카 글로벌OE영업부문장(부사장)은 “램프를 포함한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에서 글로벌 기술 경쟁력과 안정된 품질 등을 통해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라면서 “이를 통해 올해는 총 37억달러(4조4000억원) 규모의 해외수주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진2.금호석유화학_여수에너지_ccus테스트. 사진=금호석유화학
사진2.금호석유화학_여수에너지_ccus테스트. 사진=금호석유화학

◆ 금호석유화학, 궁극적인 탄소중립 성장 위해 ESG비전 탄소중립 청사진 수립

금호석유화학은 23일 지난해 발표한 ESG경영활동의 일환으로 탄소중립 부문의 계획을 구체화하고 본격적인 실무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금호석유화학 ESG 경영활동의 씽크탱크인 ESG위원회는 지난해 ESG비전(트리플 A, Act‧Advance‧Accelerate)을 발표한 후 곧바로 ESG경영관리‧안전환경 부서 등 실무진과 함께 외부 컨설팅 등을 통해 기후변화대응 전략을 구상해 왔다. ESG위원회는 금호석유화학의 중장기 탄소중립 성장안을 5대 중점 전략으로 정리했다.

5대 전략은 ▲클린에너지 전환 기반 전사업장 감축 가속화 ▲친환경 제품으로의 전환 ▲친환경 바이오 기반 원료로의 전환 ▲Recycling 확대 ▲탄소자산관리 디지털 전환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기반 마련이다. 

이 5대 전략을 기반으로 금호석유화학은 2030년까지 BAU(배출 전망치) 대비 약 29%와 국가 NDC기준 23%의 탄소배출 저감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며, 궁극적으로는 증가분보다 감축량이 많아지는 2035년을 탄소중립 성장의 원년으로 삼아 2050년 탄소중립 성장을 목표로 추진한다.

저감 활동은 5대 전략에 맞춰 금호석유화학의 사업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부분부터 시작한다. 에너지발전사업의 CCUS 적용과 연료 전환, 화학 사업의 바이오실리카 기반 합성고무 등 친환경 원료 비중 확대 및 RSM등 열분해를 통한 폐기물 재 원료화 등을 진행한다. 

또 제품 LCA(전 과정 평가) 분석을 통한 탄소발생 단계별 탄소자산관리 활동을 디지털화해 이해관계자들과의 즉각적인 소통과 협력을 가능케 하는 선진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도 탄소중립 프로젝트의 주요 과제로 다룬다. 

백종훈 금호석유화학 대표는 “구체적인 탄소저감활동의 첫 걸음을 뗐다”며 “5대 전략을 바탕으로 궁극적인 탄소중립 성장을 위해 전 직원 모두 힘을 합쳐 달릴 것”이라는 의지를 표명했다.

‘UMEX 2022’ 전시관 전경. 사진=LIG넥스원
‘UMEX 2022’ 전시관 전경. 사진=LIG넥스원

◆ LIG넥스원, UAE에서 열리는 ‘UMEX 2022’에 참가

UAE에 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인 천궁-II의 대규모 수출을 성사하며 K-방산 역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운 LIG넥스원이 UAE에서 열리는 ‘UMEX 2022’에 참가해 글로벌시장 개척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LIG넥스원은 21일부터 3일간 UAE 아부다비에서 열리는 로봇‧무인분야 국제전시회인 ‘UMEX 2022(Unmanned Systems Exhibition and Conference)’에 참가하고 있다.

UMEX 전시회는 UAE 국방부가 협력하는 행사로 2016년부터 2년마다 열리고 있다. 국방·민간 분야의 무인시스템과 시뮬레이션, 훈련, AI, 로봇 등 미래전을 중심으로 한 전시회다.

LIG넥스원은 이번 전시회에서 근력증강로봇(LEXO), 무인수상정(해검-II, III), 소형 정찰·타격 드론, 안티드론 시스템 등 전장별 무인 플랫폼 및 미래 병사용 무기체계를 중점적으로 소개했다.

[비즈월드=손진석 기자 / son76153@empas.com]

저작권자 © 비즈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