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반 때 무관용 '원 스트라이크 아웃' 적용
미공개 중요정보 취급 임직원 관리시스템 강화
자금세탁방지 기술 활용해 이상 거래 점검 등

[비즈월드] NH투자증권(대표 윤병운)은 내부통제 강화 TFT(태스크 포스팀, 특별조사단)를 통해 '신뢰 강화 대책'을 마련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대책은 내부통제 시스템의 구조적 한계를 개선하기 위해 사전적 점검 체계를 더 강화하는 데 방점을 뒀다.
미공개 중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인원을 전사적으로 등록·인증하는 '미공개 중요정보 취급 임직원 등록 관리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이다.
기존에는 본부 단위 조직 체계에 따라 이뤄졌던 내부 통제를 프로젝트별로 관리해 정보 접근의 투명성과 추적 가능성을 높였다고 한다.
공개매수, 유상증자, 블럭딜(시간 외 대량 매매) 등 국내 상장주식 관련 IB(기업 금융)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임직원이 이번 내부통제 관련 대상으로 포함된다.
이 과정에서 자금세탁방지(AML) 기술 기반의 점검 체계를 활용한다고 한다.
내부통제 대상이 되는 프로젝트 관련 임직원의 당사 계좌뿐만 아니라 타사 계좌와 가족 계좌에서 발생하는 이상 거래까지도 점검할 계획이다.
우회 거래 리스크(위험)를 선제적으로 차단해 사후 적발은 물론 사전에 점검할 수 있는 장치를 갖출 예정이다.
가족 계좌의 경우 개별 동의한 배우자와 미성년 자녀의 계좌를 대상으로 한다.
미공개정보 이용 관련 위반 사항이 적발되면 무관용 '원 스트라이크 아웃'을 적용한다.
미공개 중요 정보를 취득하고, 이용, 제공, 유출할 경우 즉시 업무 배제 이상으로 징계할 방침이다.
전체 임직원의 경각심을 높여 규정 위반을 사전에 방지하고, 윤리 규범을 내재화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앞서 발표한 전체 임원 대상 국내 주식 매수 금지를 이번 신뢰 강화 방안에 포함해 미공개 정보를 사적으로 활용할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한다.
익명성이 철저히 보장되는 내부 제보 제도를 활성화하는 방안도 준비해 내부 제보자의 신분 노출에 대한 임직원의 우려를 해소해 제도에 신뢰도를 높일 계획이다.
윤병운 대표는 "이번 TFT가 구축한 대책은 단순한 신뢰 선언이 아닌 시스템으로 즉각 구현하는 실질적 혁신"이라고 말했다.
또 "정보 관리 투명성과 내부통제 효율성을 모두 강화해 금융투자 업계의 신뢰 강화 기준을 바로 세우겠다"라고 강조했다.
[비즈월드=박제성 기자 / pjs84@bizw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