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업계,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에 소비 일부 회복될 것 기대"
올해 1~2월 기업회생 신청 지난해보다 26% ↑, 고환율·고금리 이어져

[비즈월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 결정에 소비 심리가 회복될지에 대한 기대감도 올라가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내수 부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돼 국내 소비 심리가 일부 회복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12월 3일 비상 계엄 사태 이후로 불안했던 정국이 안정을 찾으면서 정치적 상황을 예의주시하던 기업들도 다시금 적극적인 투자와 마케팅에 돌입하려는 모습이다.
계엄 이후부터 위축된 소비심리에 고금리, 고환율 등까지 겹치면서 내수 시장 의존도가 높은 유통기업들이 큰 타격을 입었다. 일부 기업들은 구조조정에 나섰고 기업회생 신청을 하기도 했다.
지난 1일 현대면세점은 7월에 동대문점을 폐점하겠다고 밝히며 희망퇴직을 추진했다. 애경그룹은 핵심 계열사 애경산업의 구조조정과 매각을 검토 중이다. 또 명품 플랫폼 발란, 대형마트 홈플러스 등은 기업회생을 신청했다. 경기 불황에 올해 1~2월 기업회생 신청 기업이 지난해보다 26% 올랐다는 게 대법원 법원행정처의 설명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현 상황에서 소비 회복에 초점을 두고 정부와 기업이 다방면에서 대책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지난달 소비자심리지수는 93.4로, 2월(95.2)보다 1.8포인트 하락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현재생활형편, 가계수입전망, 소비지출전망 등 6개 주요 개별지수를 표준화해 합성한 지수로 100을 밑돌면 장기 평균보다 소비심리가 좋지 않다는 것이다.
지난 2016년 10월 박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정국이 본격화된 이후 소비자심리지수는 102.7에서 2017년 1월 93.3까지 내려갔다. 그러나 3월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 결정 직후에는 96.7, 4월에는 101.2를 기록하며 기준선인 100을 넘어섰다. 소비자심리지수가 100을 웃돌면 소비자들이 경제 상황을 평균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의미다.
다만 일각에서는 박 전 대통령과 같은 반등세를 겪을지는 미지수며 소비 회복에 한계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지난 2월 25일 한국은행이 결정한 기준금리는 2.75%로 박 전 대통령 탄핵 당시 1.25%보다 두 배 이상 높다. 고금리는 대출 이자 부담을 키워 필수 소비 외 지출을 줄이고 내수 회복의 동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지난 2017년 당시에는 저금리 기조 덕분에 소비 여력이 유지됐다는 분석이 있었지만 최근에는 이자 부담에 가계 지출이 막히고 있다.
여기에 미국발 상호관세로 국내 경기가 반등하지 못하면 실적 악화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내수 소비가 회복되도 원·부자재 가격 부담이 줄지 않아 기업들의 수익 확보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탄핵 선고 직전 원·달러 환율은 1440원을 기록했으며, 이는 2017년 3월 당시(약 1150원)와 비교해 약 300원 높은 수준이다. 고환율은 소비자 입장에서도 수입 제품 가격 인상과 할인 축소 등 체감 물가 상승으로 이어진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정치 불확실성이 해소됐지만 소비 회복에 대한 기대는 아직 미지수라는 의견이 나온다"며 "국내 정치 외에도 대내외 요인이 많이 작용하고 있어 올해는 상황을 예의주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월드=김선주 기자 / sunjookim@bizw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