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포·봉화·태백 주민들, '주민 없는 가짜 간담회' 기획한 환경단체 강력 규탄

석포면 현안대책위원회, 태백시 현안대책위원회, 석포주민 생존권 사수 봉화군 협의회 회원들이 9월 25일 오후 경북 봉화군 석포면 만촌슈퍼 앞 도로에서 대규모 주민 궐기대회를 열고, 석포제련소 이전 추진 반대 시위를 벌이고 있다.
봉화·태백·석포 생존권 사수 공동투쟁위원회가 환경단체의 활동을 강하게 비판했다. 사진은 석포면 현안대책위원회, 태백시 현안대책위원회, 석포주민 생존권 사수 봉화군 협의회 회원들이 지난 9월 25일 주민 궐기대회를 열고 석포제련소 이전 추진 반대 시위를 벌이고 있는 모습. 사진=석포면 현안대책위원회

[비즈월드] 봉화·태백·석포 생존권 사수 공동투쟁위원회(이하 공투위)는 지난 3일 “환경단체가 최근 유엔(UN) 관계자를 몰래 마을에 데려와 주민 없는 가짜 '주민 간담회'를 열려다 들통나 무산됐다”며 “이들의 얄팍한 꼼수와 대국민 사기극을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공투위에 따르면 최근 일부 언론은 환경단체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 소속 변호사들의 말을 인용해 UN ‘기업과 인권 실무그룹’ 피차몬 여판통(Pichamon Yeophantong) 위원장이 지난 1일 석포를 방문해 영풍 석포제련소의 오염 실태를 점검하고 주민들과 간담회를 가졌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공투위는 이는 허위보도며 국민을 속이려는 기획된 연출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환경단체와 민변 소속 일부 변호사들은 지난 1일 오후 UN 피차몬 여판통 위원장을 석포면으로 데려왔다.

이들은 석포제련소 인근 낙동강 천변을 20~30여 분간 둘러본 뒤 석포면사무소 회의실에서 이른바 '주민 간담회'를 강행하려 했다.

그렇지만 이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된 주민 약 60여 명이 현장에 모여 강하게 항의했고 결국 간담회는 시작조차 하지 못한 채 무산됐다.

더욱 황당한 점은 환경단체가 간담회 하루 전인 지난 10월 31일 정식 공문도 아닌 카카오톡 메시지로 석포면 사무소 직원에게 회의실 사용 요청을 했다는 사실이다.

간담회에 대한 공식적인 주민 공지도, 참여 요청도 없었다. 사실상 주민들 몰래 조용한 주말 오후에 UN 관계자를 들러리로 세워 '주민 간담회가 있었다'는 허위 그림을 짜 맞추려 했던 것이라고 공투위는 설명했다.

아울러 주민들은 이 자리에서 UN 피차몬 여판통 위원장에게 영풍 석포제련소의 환경개선 현황 및 주민 입장을 담은 간략한 영문 의견서를 전달하려 했으나 동행한 민변 소속 변호사들이 이를 가로막는 황당한 일이 벌어졌다. 실제 이곳에 사는 주민의 목소리가 UN에 전달되는 것을 막았다는 얘기다.

이후 환경단체는 부랴부랴 석포역으로 장소를 옮겨 자신들끼리 회의를 한 뒤 사진을 찍고 마치 주민 간담회가 성사된 것처럼 언론에 뿌렸다. 심지어 "UN 피차몬 여판통 위원장이 주민 피해를 직접 들었다"는 거짓 주장까지 덧붙여 언론플레이를 벌였다고 한다.

공투위는 “UN 위원장을 내세워 마치 주민 전체가 환경단체를 지지하는 것처럼 꾸며낸 것은 철저한 왜곡이자 국민 기만 행위”라며 “주민은 단 한 명도 참여하지 않은 가짜 간담회를 국제기구에 요식 행위처럼 보여준 건 중대한 문제”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또 “환경단체와 민변은 존재하지도 않은 간담회를 열었다며 언론에 유포한 모든 자료를 즉시 회수하고, 석포 주민들에게 정식으로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이와 함께 공투위는 당일 피차몬 여판통 위원장에게 전달하지 못한 입장문을 UN 기업과 인권 실무그룹 공식 이메일을 통해 전달할 예정이며 “UN이 잘못된 정보에 휘둘리지 말고, 실제 석포 주민들의 생존권과 환경개선 실태를 균형 있게 살펴보길 바란다”고 밝혔다.

임광길 공투위 공동대표는 “환경단체는 2019년 이후 석포제련소가 폐수 외부 무방류 시스템 도입 등 환경 개선을 위해 대규모 투자를 진행해 환경이 상당부분 개선된 사실은 무시하고 주민들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낙인찍기에만 몰두하고 있다”며, “UN도 환경단체의 일방적 주장만 듣지 말고 실제 현지 주민들의 절박한 현실과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까지 균형 있게 살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비즈월드=황재용 기자 / hsoul38@bizwnews.com]

저작권자 © 비즈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