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월드] 금융권의 새로운 먹거리로 부상한 마이데이터(본인신용정보관리업) 시대가 드디어 다음 달 열린다. 최근 금융사들은 서비스 개시 전 막바지 채비를 마치며 대고객 시범 서비스의 시작을 알리기 분주하지만 우선 고객을 사로잡기 위한 준비를 제대로 마쳤는지 돌아봐야 할 때다.

최근 시중은행 및 카드·증권사 등은 금융보안원이 주관하는 표준 API(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 최종 규격 기준의 서비스 기능 적합성 심사 통과와 보안 취약성 점검 등을 완료하며 서비스 준비를 마쳤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또 신한은행과 국민은행은 마이데이터 통합인증 사업에 선결 조건인 전자서명인증사업자 선정을 통해 마이데이터 시장 선두를 달리기 위한 조건을 갖췄다. 우리은행과 IBK기업은행 등은 최신 휴대폰과 고가의 자동차를 비롯한 경품을 내건 사전 신청 이벤트를 펼치며 고객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금융사들은 자사 마이데이터의 안정성과 보안성 등을 강조하며 한 명의 고객이라도 더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하는 모습이다. 고객 수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을 경우 정교한 빅데이터 분석이 어렵다는 점에서 초반부터 마이데이터 서비스의 고도화를 위한 치열한 선점 경쟁에 나서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향후 마이데이터 선점을 위한 고객 '락인 효과'를 기대하며 출혈 마케팅을 추진하는 금융사들이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금융당국이 과도한 경품 제공과 직원들에게 내려진 할당 등 과당 경쟁에 대해선 엄중하게 대처한다고 밝힌 만큼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철저히 감시할 것이다. 

그러나 금융사들은 고객의 흩어진 데이터를 한 번에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는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앞다퉈 홍보하기 전에 서비스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 된다.

은행 및 카드, 증권, 보험 등 금융권 전반이 새로운 먹거리로 부상한 마이데이터 사업에 뛰어들면서 고객의 편의성을 높일 차별화 포인트를 선보이는 것이 서비스 안착의 열쇠가 되기 때문이다.

고객은 자신의 데이터를 아무 곳이나 제공하길 원치 않기에 제한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고객의 데이터를 활용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사들은 금융소비자 중심의 서비스로 무장함으로써 고객이 자신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상의 만족감을 전할 수 있어야 한다. 고객의 편의성을 우선으로 해 서비스 준비에 만전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을 경우 자칫 최근 금융권이 주목하는 메타버스 플랫폼 추진 사례와 같은 모습을 보일 수 있다. 금융사들은 알맹이가 빠진 메타버스 플랫폼 추진 계획만 밝히는 실정이다. 

메타버스 플랫폼을 사내에서 활용하는 것을 넘어 금융사들은 가상의 지점에서 고객 상담 서비스를 할 수 있는 수준까지 개발 목표로 하고 있다. 성장 가능성이 있는 유망 사업으로 분류되며 금융권에서 주목하는 새로운 먹거리임에는 분명하나, 명확한 대안 없이 다른 곳에서 진행하니 함께 휩쓸려 추진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현재 기술 수준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의 활용성을 높여도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상황에서 추진하는 데만 몰두한다는 목소리다. 

마이데이터 역시 고객의 데이터를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편의 서비스로 되돌려 주는 것이 우선돼야 하지만 현재는 고객 유치에만 열을 올리는 분위기다.  

마이데이터 시대를 앞두고 고객의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하는 것 이상의 차별화된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을 제시할 때다. 금융사들은 고객의 다양한 데이터를 확보하면서 고객의 편의성으로 되돌려 주기 위해 고민했는지 점검해야 한다. 

[비즈월드=임성원 기자 / djioo0602@bizwnews.com]

저작권자 © 비즈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