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좌진 롯데카드 대표, 결국 퇴임 수순…"차기 대표는 고객보호·리스크 관리 전문성에 초점"
소비자 보호 경영 전략과 사업 리스크 관리의 전문성 갖춘 인물에 관심 오는 21일 사임 안건 임시 이사회에 상정, 12월 1일 공식 퇴임
[비즈월드]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가 297만명의 고객 정보 유출 책임을 지고 대표직에서 조기 사임한다.
원래 조 대표 임기는 오는 2026년 3월까지였지만, 이번 해킹 사태에 따른 내부통제 책임론이 불거지자, 조기 퇴진이 유일한 방법으로 선택한 것으로 업계는 풀이한다.
최근 롯데카드는 해킹 사태로 고객 정보 유출로 신뢰도가 하락했는데 이를 회복하기 위한 소비자 보호를 위한 경영 전략과 사업 리스크(위험) 관리의 전문성을 갖춘 경영인이 차기 대표에 오를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롯데카드의 차기 CEO(최고경영자) 될 인물에 대해 카드업계가 관심을 내비치고 있다.
14일 카드 업계에 따르면 조 대표는 지난 13일 사내 게시판에 ‘대표로서 마지막 책임을 지겠습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임직원들에게 사임 의사를 알렸다.
조 대표의 사임 안건은 오는 21일 임시 이사회에 상정돼 처리되며, 12월 1일자로 공식 퇴임하게 된다.
특히 롯데카드 기타비상무이사로 있던 대주주인 MBK파트너스의 김광일 부회장도 같은날 이사회에서 물러날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롯데카드는 지난 8월 해킹 사고가 발생해 297만명에 달하는 고객 정보가 유출돼 금융 당국 등이 대대적인 점검에 착수한 바 있다.
이 중 28만명은 카드번호·유효기간·비밀번호 일부·CVC(카드 3자리 보안 비밀번호 숫자) 등 민감한 정보까지 노출되자 금융당국과 정치권에서도 롯데카드를 강하게 질타했다.
롯데카드는 해킹 사고 이후 대고객 사과, 보상 대책 마련, 정보보호 컨설팅 도입 등 수습 조치에 총력을 다해왔다.
지난 10월 기준 롯데카드는 본부장 4명을 포함해 임원 5명이 자진해서 사퇴하는 등 고강도 인사를 단행한 바 있다. 이번 조 대표 사임으로 롯데카드는 대대적인 인적 쇄신을 마무리한 것이다.
조 대표는 지난 2020년 취임해 올해 3연임에 성공한 인정받던 CEO였다.
재임 동안 롯데카드의 자산을 두 배 가량 늘리며, 영업이익도 3조원을 넘기는 등 괄목할 성장세를 이끈 바 있다.
하지만 이번 해킹 사태로 회원 수 관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신업계에 따르면 지난 10월 기준 롯데카드 월 해지 회원수는 약 16만명으로 전월(6만7000명) 대비 138.8%나 급증했다.
조 대표가 조기 사임하면서 차기 신임 대표에 이목에 쏠리고 있다.
아직은 차기 CEO에 대한 구체적인 후보군은 알려지지 않고 있으며, 이사회를 통해 새로운 CEO를 결정할 방침이다.
롯데카드 관계자는 "오는 21일 롯데카드 임시 이사회에서 조 대표는 사임 통보하며, 새로운 CEO 선임을 위한 공식적인 절차가 개시된다"면서 "다만 아직까지 후임자와 관련해 알려진 바는 없으며, 21일 이후에 논의가 이어질 것으로 본다"라고 말했다.
롯데카드는 이번 해킹 사태를 계기로 앞으로 5년 동안 정보보안 분야에 총 11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다.
전체 IT 예산 대비 정보 보안 투자 비중도 업계 권고 수준인 7%를 크게 웃도는 15%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비즈월드=박제성 기자 / pjs84@bizw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