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T 마켓 트렌드] "MZ세대, 10명 중 6명 무알콜·논알콜 맥주 택한다"
하이네켄코리아, 2030 대상 무알콜·논알콜 맥주 음용 실태 조사 결과 발표
[비즈월드] 최근 MZ세대를 중심으로 ‘가볍게 즐기는 음주 문화’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절반 이상이 운전이나 업무, 운동 등 특별한 상황이 아니어도 무알콜·논알콜 맥주를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 문화의 변화와 함께 무알콜·논알콜 맥주가 단순한 맥주의 대체제가 아닌, 새로운 음료로 인식되고 있음을 시사한다는 분석이다.
하이네켄코리아가 소비자 데이터 플랫폼 오픈서베이를 통해 최근 3개월 이내 무알콜·논알콜 맥주 음용 경험이 있는 전국 거주 2030 성인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단행한 결과 10명 중 6명이 ‘특별한 이유’ 없이 무알콜·논알콜 맥주를 마신다(56.4%)고 응답했다.
운전이나, 업무, 운동 등 특정 상황이 아니어도 무알콜·논알콜 맥주를 즐기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실제로 소비자들이 무알콜·논알콜 맥주를 선택하는 이유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가장 많은 사람들이 ▲마시기 편해서(62.8%)를 이유로 꼽았고 이어 ▲탄산음료나 주스와는 다른 기분을 원해서(53.9%) ▲음식과 어울려서(26.6%) ▲맛있어서(21.6%) 등이 뒤를 이었다.
이런 결과는 무알콜·논알콜 맥주가 술의 대체제를 넘어 음식과 함께 맛있게 즐길 수 있는 음료로 인식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하이네켄코리아 측은 풀이했다.
특히 탄산음료를 마시는 것과는 다른 기분을 즐기고자 하는 MZ세대의 심리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처럼 평범한 일상에서 편하게 무알콜·논알콜 맥주를 찾는 이들이 다수인 가운데 구매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는 ‘맛’(83.6%)이 압도적으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가격(62.0%) ▲알코올 함량(35.8%)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22년 하이네켄코리아의 조사와 동일한 결과로, 소비자에게 ‘맛’이 변함없이 가장 중요한 선택 기준으로 자리잡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고 사측은 전했다.
특히 무알콜·논알콜 맥주를 월 1회 이상 음용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76.6%로 나타났다. 이는 동일한 질문에 대한 2022년 조사의 응답(66.4%)에 비해 10%포인트(p) 이상 상승한 수준이다.
하이네켄코리아 측은 이 같은 결과가 무알콜·논알콜 맥주 시장이 꾸준하게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또 응답자 중 86.8%는 현재 수준을 유지하거나 더 자주 마실 의향이 있다고 답한 만큼 무알콜·논알콜 맥주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음식과 함께 즐기는 음료로서의 역할도 주목된다.
음식을 먹을 때 술을 마시지 않는 경우 탄산음료와 무알콜·논알콜 맥주 중 어떤 것을 선호하는지 묻는 질문에 응답자들은 ▲탄산음료(37.0%) ▲비슷하다(34.4%) ▲무알콜·논알콜 맥주(23.2%) 순으로 답했다.
음식과의 페어링 음료로 무알콜·논알콜 맥주를 선호하는 소비자도 적지 않은 것이다.
또 무알콜·논알콜 맥주를 탄산음료보다 선호한다고 답한 사람들은 대부분 ▲술을 마시는 기분은 내고 싶지만 알코올은 피하고 싶어서(59.5%)라고 답했고 이어 ▲맛있어서(12.1%) ▲음식과 더 잘 어울려서(12.1%) 등이 뒤를 이었다.
아울러 앞으로 음식과의 페어링을 고려해 무알콜·논알콜 맥주를 더 자주 선택할 의향이 있냐는 질문에서도 전체의 47.6%가 긍정적으로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과 어울리는 새로운 페어링 음료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는 의미라는 분석이다.
하이네켄코리아 커뮤니케이션 매니저 김준형 차장은 “과거에는 무알콜·논알콜 맥주를 운전이나 다이어트 등 특정한 상황에서 찾았다면 이제는 별다른 이유나 설명 없이 단지 맛있어서 가볍게 즐기려는 수요가 늘고 있다”며 “이처럼 소비 방식이 확연히 달라지면서, 무알콜·논알콜 맥주를 음식과 함께 페어링 하거나, 기호에 맞춰 즐기는 새로운 음용 트렌드가 더욱 확고히 자리 잡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비즈월드=김미진 기자 / kmj44@bizw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