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 "밸류업 위해 혁신 통한 성장 필요"
한국경제학회·한국금융연·자본시장연 공동 세미나
[비즈월드] 국내 증시의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고 기업가치를 제고(밸류업)하기 위해서는 혁신을 통한 성장 동력 회복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13일 은행회관에서 열린 '자본시장 활성화와 금융안정' 세미나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김 부위원장은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커졌지만 한국은 주요국 대비 주가 하락 폭이 작았고 비교적 빠른 회복세를 보였다"며 "이는 자본시장 선진화, 이른바 밸류업 정책의 효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김 부위원장이 제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4월 2일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 이후 글로벌 증시가 일제히 하락했다.
그러나 올해 1월 2일 주가지수를 100으로 가정했을 때, 5월 12일 기준 코스피는 109까지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S&P500, 유로스톡스50, 니케이225, 상하이종합지수 등 주요 해외 지수보다 더 빠른 회복세다.
김 부위원장은 "밸류업 프로그램은 지난해 발표했지만 자본시장 선진화를 위한 정책은 이미 3년 전부터 추진해 왔다"며 ▲자본시장 접근성 제고 ▲주주가치 경영 확립 ▲공정한 시장 질서 정착 ▲자본시장 혁신 역량 강화 등을 구체적으로 소개했다.
이어 최재원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밸류업의 해법이 대기업의 지배구조 개선이나 배당 확대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밸류업의 본질은 성장 동력 회복"이라고 주장했다.
최 교수는 "한국 시장의 낮은 주가순자산비율(PBR)의 원인을 취약한 지배구조나 미흡한 주주환원 정책에서 찾는 시각이 지배적이지만 이는 절반의 진단일 뿐"이라며 "현재 한국 증시는 전통 제조업 기반의 레거시 기업들이 시가총액 상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 기업은 유형자산에 집중돼 있고 연구개발(R&D) 비중은 낮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러한 구조적 차이는 글로벌 투자자들이 한국 시장을 외면하게 만드는 주요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또 이준서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는 일본의 자본시장 개혁 사례를 들면서 한국 자본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거래소 개편 ▲지배구조 개선 ▲연기금의 역할 강화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 교수는 "거래소의 개편과 관련해서 유가증권시장을 지배구조 또는 주주환원 여부에 따라 우수-표준(가칭)시장으로 구분하고 코스닥시장은 상장유지 조건을 강화해 과감한 퇴출을 시행하며, 코넥스 시장은 폐지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이어 수탁자책임 전문위원회 위원 증원 및 지원조직 신설과 의결권자문기구 설립도 제안했다.
[비즈월드=최희우 기자 / chlheewoo@bizw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