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와 LG전자가 나란히 시장 전망치에 밑도는 2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양사의 스마트폰 실적 하락이 전체 매출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사진=비즈월드 DB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나란히 시장 전망치에 밑도는 2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양사의 스마트폰 실적 하락이 전체 매출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양적인 측면에서 볼 때 큰 변동은 없었습니다. 기대치에 비해서도 그리 큰 차이는 나지 않았습니다. 나름 선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두자릿수 조원 대로 움직이는 회사여서 작은 비율의 변동폭은 의미가 크지 않습니다. 그해 그해마다의 계절적인 요인이나 상황적인 요인이 작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먼저 삼성전자는 지난 6일 연결 기준으로 지난 2분기 매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92% 감소한 58조원, 영업이익은 5.19% 증가한 14조 8000억원으로 잠정집계 됐다고 공시했습니다. 이는 직전 분기 대비로는 각각 4.23%, 5.37% 감소한 수치입니다. 지난해 삼성전자가 예상 외의 호실적을 기록했음을 상기한다면 올해도 그리 나쁘지 않은 수치입니다.

물론 실적에 악영향을 미친 요소도 있습니다. 무엇보다 스마트폰 사업이 소강 상태에 들어갔습니다. 기대했던 만큼의 물량 소화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이 부문에서의 마이너스 요인이 실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보입니다.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은 신기록 행진을 이어가다 7분기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습니다. 지난해 4분기 15조 1469억원, 올해 1분기 15조 6400억원 등 15조원을 넘었던 분기 영업이익은 3분기 만에 14조원대로 후퇴했습니다.

부문별로 보면 삼성전자 휴대폰 사업(IM)의 2분기 영업이익은 ‘갤럭시S9’ 판매 부진 여파로 2조원대로 내려앉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증권가에서는 갤럭시S9의 올해 연간 판매량 예상치를 2800만대로 전망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출시된 S8(3750대)보다 낮은 수준입니다. 디스플레이 부문도 고전했습니다. 액정표시장치(LCD) 패널 가격 하락과 플라스틱 유기발광다이오드(POLED) 물량 감소, 글로벌 경쟁 심화 등으로 매출이 하락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반면 반도체 부문은 실적 호조세를 이어갔습니다. 삼성전자 2분기 반도체 부문 영업이익은 12조원 초반대를 기록했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이는 2분기 잠정 영업이익(14조 8000억원)의 약 80%에 이릅니다. 소비자가전(CE) 부문도 성수기 진입에 힘입어 1분기 대비 개선됐을 것으로 추산됐습니다.

반도체 부문이 언제까지 삼성전자의 '황금알을 낳는 거위' 역할을 해 줄 수 있을까요? 현재 반도체 경기는 세계적으로 통용되던 반도체 주기설을 완전히 무시하고 호황 일변도입니다. 그 만큼 삼성전자에게는 효자입니다. 삼성전자의 앞으로의 실적은 반도체의 외부 경기변수와 스마트폰의 내적인 마케팅 역량 두가지가 좌우할 것으로 분석됩니다.

LG전자도 이날 잠정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연결 기준으로 지난 2분기 매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2% 증가한 15조 177억원, 영업이익은 16.1% 상승한 7710억원으로 잠정집계 됐다고 공시했습니다. 이는 직전 분기 대비로는 각각 0.7%, 30.4% 감소한 수치입니다. 삼성전자와 유사한 그래프를 보입니다.

LG전자도 시장 기대치에 다소 미치지 못한 수준이었습니다. 와이즈에프엔이 집계한 컨센서스는 매출액 15조 5852억원, 영업이익 8402억원이었습니다.

TV, 가전, 스마트폰 등 전체 사업부에서 신제품 출시에 따라 마케팅 비용이 늘어난 데다 TV 사업부 수익성도 1분기에 비해 부진한 결과라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부문별로는 스마트폰 사업을 담당하는 MC 사업본부는 영업적자가 1200억원 안팎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2분기 적자가 확정되면 13분기 연속 적자입니다. 자동차부품을 총괄하는 VC 사업본부도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VC 사업본부는 지난해 2분기 이후 적자 행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반면 올레드(OLED) TV를 앞세운 HE 사업본부와 가전을 책임지는 H&A 사업본부가 호조세를 보였습니다. 이들은 각각 1분기에 이어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 10% 이상의 수익률을 기록한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LG전자 역시 우리나라의 전자산업을 떠받치는 기둥 중 하나입니다. 다만 전통의 가전 분야를 제외하고는 스마트폰 등 제 기능을 해 주어야 할 부문이 아직은 힘을 쓰지 못하고 있습니다. 수년 전부터 스마트폰 사업 철수 소문이 나왔던 것도 그만큼 LG전자의 스마트폰 사업이 어려웠음을 반영합니다. 스마트폰 사업의 성공 여부가 LG전자의 실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임은 자명합니다.

저작권자 © 비즈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