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업종만 R&D 비중 10% 넘어…네이버·엔씨소프트·넷마블 등 IT전자·게임업체 R&D비중 높아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최근 500대 기업 중 사업보고서를 통해 R&D비용을 공시한 214개 기업을 전수 조사한 결과, 지난 2018년 총 49조8837억원으로 전년 46조639억원보다 8.3%(3조8198억원) 증가했다. 표=CEO스코어 제공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최근 500대 기업 중 사업보고서를 통해 R&D비용을 공시한 214개 기업을 전수 조사한 결과, 지난 2018년 총 49조8837억원으로 전년 46조639억원보다 8.3%(3조8198억원) 증가했다. 표=CEO스코어 제공

[비즈월드] 국내 500대 기업의 매출 대비 연구개발(R&D) 비중이 1년 동안 0.1%포인트 상승한 가운데 제약업종은 매출의 13% 이상을 R&D에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셀트리온은 기존 R&D 비중 1위였던 네이버를 제쳤으며 한미약품·대웅제약·종근당·녹십자 등 제약사들이 상위권에 다수 포함됐습니다.

또 네이버·엔씨소프트·NHN·넷마블·카카오 등 IT전자·게임업체들이 전통의 대기업에 비해 R&D 투자 비중이 큰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최근 500대 기업 중 사업보고서를 통해 R&D비용을 공시한 214개 기업을 전수 조사한 결과, 지난 2018년 총 49조8837억원으로 전년 46조639억원보다 8.3%(3조8198억원) 증가했습니다.

매출액 대비 비중은 2.83%에서 2.93%로 0.1%포인트 상승했습니다.

기업별로는 셀트리온이 매출 9821억원 중 29.42%(2890억원)를 투자해 500대 기업 중 R&D 비중이 가장 높았습니다. 2017년 23.92%로 네이버(24.16%)에 이어 2위였지만 1년 새 5.5%포인트 상승하며 1위에 올랐습니다.

네이버도 2017년 대비 0.97%포인트 상승한 25.13%를 기록했지만 셀트리온보다 비중 상승폭이 낮아 2위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네이버의 R&D 투자액은 1조4039억원이었습니다.

이어 넷마블 20.43%, 한미약품 18.99%, 엔씨소프트 16.02%, 카카오 15.18%, 에스엘 14.1%, 대웅제약 13.05%, 종근당 12.06% 등이 톱10에 랭크됐습니다.

10위권 밖의 녹십자(11위)와 NHN(12위)도 각각 10.93%, 10.5%로 두 자릿수 비중을 넘었습니다.

재계 1위 삼성전자는 매출 243조7714억원 중 7.66%(18조6620억원)을 R&D에 사용해 16위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코오롱글로벌·포스코대우·팜스코(0.01%)와 고려아연·SK인천석유화학(0.02%), 현대엔지니어링·BGF리테일·현대오일뱅크(0.03%), 삼천리·GS리테일(0.04%), 금호산업(0.05%), 아주산업·동부제철·예스코홀딩스(0.06%), 현대백화점·현대그린푸드(0.07%), 대창·삼성엔지니어링·SK에너지·에쓰오일·남해화학(0.08%) 등 21개 사는 0.1%에도 불과했습니다.

업종별로는 제약업종이 13.24%로 유일하게 10%를 넘었고 IT전기전자(7.14%), 서비스(7.1%)가 뒤를 이었습니다. 자동차 및 부품(2.91%)과 조선·기계·설비(2.45%)는 2%대, 생활용품(1.61%), 통신(1.45%)이 1%대였고 공기업(0.83%), 식음료(0.82%), 석유화학(0.75%), 철강(0.69%), 건설 및 건자재(0.6%), 운송(0.34%), 유통(0.11%), 상사(0.07%), 에너지(0.07%) 등은 1% 미만이었습니다.

표=CEO스코어 제공
표=CEO스코어 제공

금액별로 R&D 투자비용이 가장 많은 곳은 삼성전자였습니다. 총 18조6620억원을 투자했으며 전년(16조8056억원) 대비 11.05% 증가했습니다.

이어 LG전자(3조9684억원), SK하이닉스(2조8950억원), 현대자동차(2조7564억원), LG디스플레이(2조641억원), 기아자동차(1조6649억원), 네이버(1조4039억원), LG화학(1조664억원) 등이 1조원 이상 투자했습니다.

R&D 투자액이 10억원 미만인 곳은 팜스코(1억2900만원)를 비롯해 코오롱글로벌(2억7900만원), 아주산업(2억9500만원), 예스코홀딩스(6억5100만원), 대창(7억1900만원), 금호산업(7억4700만원), 유진기업(9억1200만원) 등 7곳이었습니다.

한편 국내 주요 기업들의 R&D 비중은 동종 글로벌 업체와 비교해도 뒤쳐지지 않았습니다. 제약업종의 경우 글로벌 매출 톱5의 R&D 비중은 로슈(19.4%), 노바티스(17.5%), 화이자(14.9%), 바이엘(13.3%), 존슨앤존슨(13.2%) 등이었지만 모두 셀트리온(29.4%)보다는 낮았습니다.

서비스업종은 네이버(25.1%)가 페이스북(18.4%)보다 6.7%포인트 높았고 전기전자업종 역시 서울반도체(9.9%)나 LG디스플레이(8.5%) 등이 파나소닉(5.6%)과 소니(5.4%)를 상회했습니다.

자동차와 반도체업종은 글로벌기업의 R&D 비중에 다소 부족했습니다. 자동차는 폭스바겐(5.8%)과 다임러(5.4%), 제너럴모터스(5.3%), 포드(5.1%) 등이 5%를 넘은 반면 현대차와 기아차는 각각 2.8%와 3.1%였고 쌍용차가 5.4%에 불과했습니다.

반도체업종은 삼성전자(7.7%)와 SK하이닉스(7.2%)가 퀄컴(24.7%), 인텔(19.1%)에 비해 낮았습니다.

저작권자 © 비즈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