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생명과학의 유전자치료제 '인보사'가 성분 논란으로 큰 위기를 맞았다. 사진=비즈월드 DB
'글로벌 블록버스터'를 꿈꾸던 코오롱생명과학의 유전자치료제 '인보사'가 성분 논란으로 큰 위기를 맞았다. 사진=비즈월드 DB

[비즈월드] 국내 첫 유전자치료제이자 세계 최초 골관절염 유전자치료제인 코오롱생명과학의 '인보사®-케이주(이하 인보사)’가 성분 논란으로 '글로벌 블록버스터'라는 꿈을 이루지 못할 상황에 처습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유전자치료제는 치료 효과가 있는 유전자를 투여해 질환을 치료하는 바이오의약품입니다. 현재 전 세계에서 판매 허가를 받은 유전자 치료제는 10여 개뿐이며 그중 미국과 유럽 등 제약 선진 시장에서 처방 가능한 제품은 단 4개에 불과합니다.

그중 하나는 인보사입니다. 코오롱생명과학은 지난 2017년 국내에서 인보사를 허가받으며 새로운 유전자치료제를 선보였습니다. 이웅렬 전 코오롱그룹 회장이 직접 주도해 완성한 치료제로 이 전 회장은 지난 1999년 미국 메릴랜드주 워시언에 티슈진(현 코오롱티슈진)을 설립한 후 18년간 개발에 매달려 결실을 맺었습니다.

그렇지만 코오롱생명과학이 인보사 허가 당시 제출한 자료와 인보사의 실제 성분이 달라 판매 중지를 받으며 논란이 커졌습니다. 인보사는 사람의 연골세포인 1액(HC)과 TGF-β1 유전자를 담은 형질전환세포(TC)인 2액으로 구성됩니다. 이중 형질전환세포가 문제가 됐습니다. TGF-β1 유전자가 허가사항에 기재된 연골세포가 아닌 신장세포에서 유래한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입니다.

이와 관련해 코오롱생명과학은 인보사를 개발 중이던 지난 2004년 상황을 설명하며 사태 진화에 나섰습니다. 당시 티슈진은 개발 초기였던 인보사의 형질전환세포의 유래세포를 파악했습니다. 연구팀은 유래세포의 범위를 GP2-293 또는 연골세포로 좁혔고 형질전환세포를 분석한 결과 GP2-293의 특성인 개그(Gag) 유전자와 폴(Pol) 유전자가 모두 음성으로 나왔습니다. 반면 연골세포에서는 콜라겐과 TGF-β1,2 수용체가 각각 발현되면서 티슈진은 형질전환세포의 유래세포를 연골세포로 결론 내렸습니다.

문제는 최근 시행한 STR 검사였습니다. STR 검사는 친자 확인 검사와 같은 유전체 및 유전자 검사법인데 미국에서 이뤄진 이 검사에서 인보사의 GP2-293의 유전학적 특성이 확인되면서 형질전환세포의 유래세포가 15년 만에 뒤바뀌게 됐습니다.

코오롱생명과학은 이런 배경 설명을 하면서 인보사의 주성분이 허가 당시와 다른 이유로 STR 검사 가능 여부가 다른 2004년과 현재의 기술 수준 차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이들은 유래세포를 15년 전 잘못 인지한 것일 뿐 개발과정 모두 같은 성분으로 진행돼 안전성과 유효성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강조했습니다.

여기에 식품의약품안전처 중앙약사심의위원회에도 현재까지 안전성이 우려되는 부작용 보고는 없었습니다. 식약처 역시 방사선 조사를 완료하는 등 품목허가 시 제출된 독성시험 결과에서 특별한 문제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점 등을 들어 큰 우려가 없을 것으로 판단했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나 안전성과 유효성에 이상이 없다고 해도 코오롱생명과학은 치명타를 입게 될 전망입니다. 자체 개발한 신약의 성분을 15년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점에서 인보사의 안전성·유효성 논란이 빚어졌고 그동안 쌓은 신뢰도에도 결정적인 흠집이 남게 되는 것입니다.

특히 애초에 성분 표기가 잘못돼 제조 및 판매가 중단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관련 업계에서도 제조사가 무려 15년간 신약의 성분을 확실히 몰랐다는 점은 납득할 수 없는 일이라는 입을 모으고 있으며 이번 사태와 관련한 식약처의 최종적인 결과가 나와야 인보사의 판매 재개 여부를 알 수 있는 점도 악재입니다.

보건당국도 책임론을 피해갈 수 없게 됐습니다. 미국에서도 STR 검사가 필수는 아니지만 이번 논란은 해외 허가 과정에서 시작됐습느다. 애초에 잘못 인지된 후 보고됐지만 이를 아무런 의심없이 허가를 내준 점과 코오롱생명과학으로부터 이번 보고를 받은 후 사태를 파악한 식약처의 잘못이 아예 없다고 하기 어려운 실정입니다.

한 관련 업계 관계자는 "코오롱생명과학이 구체적인 근거를 들어 해명했지만 이번 논란이 적지 않은 충격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 미국의 향후 상황을 봐야겠지만 이전의 명성을 회복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저작권자 © 비즈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