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바이오의약품의 특허가 대거 만료되면서 그 복제약인 '바이오시밀러' 시장이 확대될 전망이다. 이에 국내 제약업계의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사진=비즈월드 DB
바이오의약품의 특허가 대거 만료되면서 그 복제약인 '바이오시밀러' 시장이 확대될 전망이다. 이에 국내 제약업계의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사진=비즈월드 DB

[비즈월드]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의 특허 만료가 시작되면서 '바이오시밀러'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국내 제약업계의 기대감도 함께 높아지고 있습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바이오의약품은 생물 세포나 조직 등의 유효물질을 이용한 치료제입니다. 바이오시밀러는 쉽게 말해 이 치료제의 복제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동등생물의약품 또는 FOB(follow-on biologics)라고도 불리는데 오리지널 제품과 비교해 동등한 품목·품질을 갖춘 반면 가격이 훨씬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최근 고공성장을 이어가고 있으며 자연스럽게 바이오시밀러 시장 역시 확대되는 중입니다. 시장조사업체 프로스트&설리반에서 발표한 자료를 보면 올해 바이오시밀러 시장 규모는 지난해(160억5000만 달러)보다 약 50% 늘어난 240억88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관측됩니다.

이런 바이오의약품 시장이 큰 변화를 맞고 있습니다.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의 특허가 올해 연이어 만료되면서 바이오시밀러 출시가 쏟아지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올해 안에 바이오 신약 50종의 특허가 만료됩니다. 연매출 1조원이 넘는 '글로벌 블록버스터' 제품인 ▲허셉틴 ▲아르제라 ▲포스테오 ▲오렌시아 ▲아바스틴 등입니다. 그중 아바스틴의 전 세계 연매출은 7조5000억원에 육박할 정도입니다.

이에 바이오시밀러 강국으로 자리한 우리나라 제약‧바이오기업들도 이 시장을 정조준하고 있습니다. 특히 세계 최대 제약 시장인 미국으로의 바이오시밀러 진출도 한결 수월해져 기대감이 더욱 높아진 상황입니다.

미국 시장은 그동안 다른 시장에 비해 진입하는 데 어려움이 컸습니다. 하지만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의료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바이오의약품 대신 바이오시밀러 처방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기업은 바이오시밀러 '양대산맥'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에피스입니다. 셀트리온은 이미 '레미케이드'의 복제약인 '램시마'를 비롯해 '허쥬마' '트룩시마' 등으로 유럽과 미국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하고 있습니다. 후발주자지만 모기업의 지원을 등에 업은 삼성바이오에피스 역시 '휴미라'의 바이오시밀러 '임랄디'와 '온트루잔트' 등으로 미국을 비롯해 전 세계 시장 진입을 목표로 설정했습니다.

여기에 '네스프'의 복제약을 개발한 종근당과 동아쏘시오홀딩스 등도 해외 진출을 추진하며 바이오시밀러 시장에 집중하고 있다. 유한양행은 치료제 후보물질 제조기술을 수출하며 바이오 강국의 위상을 높이고 있으며 한미약품과 GC녹십자, SK바이오팜 등도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시장 진입을 위해 역량을 강화하는 중입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바이오의약품 특허가 올해 대거 만료되면서 현재 전 세계적으로 바이오시밀러가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오리지널 제품의 특허가 끝나자마자 바이오시밀러가 쏟아질 것으로 전망되며 시장 내 치열한 경쟁이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저작권자 © 비즈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