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의 습격, 무한 성장과 경쟁 속으로
사용자 분석을 통해 알아본 OTT 앱 7개의 성장 곡선
넷플릭스(넷플릭스)·왓챠플레이(왓챠)·푹티비(콘텐츠연합플랫폼)·티빙(CJ E&M)

넷플릭스 MAU. 사진=김학철 명예기자 제공
넷플릭스 MAU. 표=앱에이프 인용 김학철 명예기자 제공

[비즈월드] 스마트폰 대중화와 1인 가구 증가는 코드커팅(Cord-Cutting)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코트커팅은 유료 방송 시청자가 가입을 해지하고 인터넷TV, OTT(Over-The-Top) 등 새로운 플랫폼으로 ‘선을 끊고’ 이동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스마트폰 영상을 TV로 보여주는 구글 ‘크롬캐스트’와 CJ헬로비전의 ‘티빙스틱’은 이같은 현상에 힘을 보탰습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서 최근 발행한 ‘유료방송 서비스 가입 추세 분석’ 리포트에 따르면 국내 유료방송 가입 가구 비율은 2011년 이래 꾸준히 증가하던 것이 2015년(94.59%) 정점을 찍고 2017년 91.68%로 줄어들었습니다.

반면, 유료방송 서비스 해지 가구 비율은 늘었습니다. 2015년(3.13%)까지 꾸준하게 줄던 해지 가구 비율이 2016년(6.54%)과 2017년(6.86%)에는 연속해서 증가했습니다. 특히 신혼부부와 1인 가구가 대부분 차지할 것으로 판단되는 만 35세 미만 가구주 가구에서 해지 비율은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1인 가구의 경우, 2017년 해지 비율 9.3%로 2015년 3.95%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하나의 콘텐츠를 N개의 디바이스에서 끊김 없이 즐길 수 있는 시대. 모바일 커넥티드에 기반한 1인 미디어 플랫폼의 등장은 스마트폰으로 스트리밍 영상이나 VOD를 시청하는 인구가 폭발적으로 늘어남과 동시에 OTT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키는 기폭제가 됐습니다.

최근 발행된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또 다른 리포트 ‘온라인 동영상 제공 서비스(OTT) 이용 행태 분석’에 따르면 조사대상자(7426명) 중 2017년 OTT 를 이용한 사람은 36.1%, 그 중 주5일 이상 이용한다는 이용자는 약 31%에 달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6.7%P 상승한 수치입니다.

OTT를 주로 사용하는 이용자는 20대로 25.4%를, 30대가 23.8%를 차지했습니다. 다만 정액제 등 유료상품을 이용하는 층은 30대가 28.3%로 가장 높았고 20대가 26.4%로 뒤를 이었습니다. 전체 응답자의 97.9%가 스마트폰으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었습니다.

이번 기고문에서는 이런 변화를 토대로 스마트폰으로 즐길 수 있는 국내 대표 앱 OTT 서비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고, 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이용 행태를 분석했습니다. 최근 시장 주목도가 높은 7가지의 앱을 선정했으며, 이번 편에서는 콘텐츠 사업자의 서비스를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넷플릭스 월간 평균 DAU
넷플릭스의 월간 평균 DAU. 표=앱에이프 인용 김학철 명예기자 제공

◆넷플릭스(Netflix), 1년 새 MAU 1600%↑

전 세계 190여개국, 1억명 이상의 회원을 보유한 세계 최대 인터넷 콘텐츠 서비스 기업 넷플릭스가 연일 화제입니다. 국내 시장 저변 확대가 본격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어서입니다. 2016년 처음 한국에 상륙한 넷플릭스는 이듬해 국내 첫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 ‘옥자’를 전 세계에 스트리밍 서비스하며 국내에 크게 알려지게 됐습니다. 최근에는 LG유플러스와의 제휴를 통해 IPTV 진출에도 힘을 쏟고 있습니다.

2018년 콘텐츠 제작 및 구매에 80억 달러(약 8조9000억원)를 투자한다고 밝힌 넷플릭스는 2017년 116억9200만 달러(한화 약 12조4855억원)의 매출을 기록했고 올 1분기 36억200만 달러(약 3조8465억원) 매출을 올리며 전년 동기 대비 43% 성장했습니다.

넷플릭스 2017년5월 빈도별
넷플릭스의 2017년 5월 빈도별. 표=앱에이프 인용 김학철 명예기자 제공
넷플릭스 2018년 6월 빈도별
넷플릭스의 2018년 5월 빈도별. 표=앱에이프 인용 김학철 명예기자 제공

넷플릭스의 고공성장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났습니다. 1년 동안 월간 활성 사용자 수(MAU)가 무려 1600%나 늘었습니다. 인플루언서 마케팅 기업 스마트포스팅이 모바일 시장분석 서비스 ‘앱에이프’의 데이터(안드로이드 단말기 기준, 패널 약 17만대 분석)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5월 넷플릭스 앱의 MAU는 81만명을 상회하며 1년 전보다 1613% 증가했습니다. 또 월간 평균 DAU는 국내 출시 이후 처음으로 20만명을 돌파, 23만명에 육박했습니다.

그보다 더 눈에 띄는 점은 이용 빈도별 사용자 비율 변화입니다. 2017년 5월, 한 달에 한 번도 앱을 실행하지 않은 비활성 유저가 전체의 70%를 차지하던 것이 1년 동안 약 35%까지 줄어들며 비활성 유저 절반을 활성유저로 전환시켰습니다. 특히 4명 중 1명은 한 달에 10번 이상 앱을 실행하는 유저로 헤비 유저 비중은 점차 늘고 있습니다.

왓챠 MAU
왓챠의 MAU. 표=앱에이프 인용 김학철 명예기자 제공

◆철벽 방어, 왓챠플레이(Watchaplay)

국내에서 넷플릭스와 자주 비교되는 서비스가 왓챠플레입니다. 지난해 5월, 앱 출시 2주년 만에 누적 재생 횟수 1억회를 넘어섰다고 밝힌 왓챠는 국내 주문형비디오(VOD) 서비스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습니다.

왓챠 월간 평균 DAU
왓챠의 월간 평균 DAU. 표=앱에이프 인용 김학철 명예기자 제공

한국 영화와 드라마 등 국내 소비자들의 취향을 저격할 수 있는 콘텐츠와, 상대적으로 저렴한 이용료 등이 장점으로 꼽힙니다. 아울러 군장병들에게 스마트폰 대여 서비스를 하고 있는 이지톡에 왓챠플레이 앱이 탑재되어 젊은 잠재 고객에게도 콘텐츠가 전달될 수 있게 됐습니다.

왓챠 넷플릭스 이용률 비교
왓챠와 넷플릭스 이용률 비교. 표=앱에이프 인용 김학철 명예기자 제공

왓챠플레이 안드로이드 앱의 지난해 5월 MAU는 1년 전보다 270% 증가하며 40만명을 달했습니다. 같은 기간 월간 평균 DAU 역시 175% 증가하며 성장세를 유지했습니다. 넷플릭스의 시장 침투에도 큰 타격 없이 오히려 성장하는 모습을 보인 것입니다. 월간 이용률 면에서도 꾸준하게 충성고객을 확보해 60%를 하회하며 1년 전보다 12%P 증가했습니다.

푹 MAU
푹의 MAU. 표=앱에이프 인용 김학철 명예기자 제공

◆활성 유저 50% 돌파, 푹(POOQ)

콘텐츠연합플랫폼이 서비스하는 푹의 장점은 지상파 3사부터 케이블 방송, 영화 등 다양한 채널과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는 것입니다. 특히 크롬캐스트 연동을 통해 스마트TV가 아니더라도 TV를 통해 콘텐츠를 볼 수 있습니다.

푹 2017년5월 빈도별
푹의 2017년 5월 빈도별. 표=앱에이프 인용 김학철 명예기자 제공
푹 2018년5월 빈도별
푹의 2018년5월 빈도별. 표=앱에이프 인용 김학철 명예기자 제공

2017년 유료가입자 60만명을 돌파하며 급격한 성장세를 보인 푹은 모바일 앱에서도 활성 유저가 50%를 넘어섰습니다. 지난 5월 푹의 활성 유저 비율은 54%로 1년 전보다 8%P 상승했습니다. 앱을 한 달에 10회 이상 사용하는 이용자가 약 17%, 특히 20일 이상 사용하는 헤비 유저층의 비율이 8%로 조사돼 4개 앱 중 가장 높았습니다.

꾸준하게 증가하던 월간 활성 사용자 수에서는 최근 들어 소폭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지난 5월 푹의 MAU는 약 92만명으로 1년 전보다 29% 증가했지만 올해 2월 정점을 찍고(110만명) 3개월째 감소세로 돌아섰습니다.

티빙 MAU
티빙의 MAU. 표=앱에이프 인용 김학철 명예기자 제공

◆충성 고객의 힘, 티빙(TVING)

CJ E&M의 티빙은 동종업계 타사 앱보다 충성 고객의 힘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특히 지난 5월 기준 전체 이용자 중 월 10회 이상 앱을 사용한 유저 비중이 30%를 넘어 전체 조사 앱 중 가장 높았습니다.

티빙 2017년5월 빈도별
티빙의 2017년5월 빈도별. 표=앱에이프 인용 김학철 명예기자 제공
티빙 2018년5월 빈도별
티빙의 2018년5월 빈도별. 표=앱에이프 인용 김학철 명예기자 제공

2017년 한 달에 한 번도 앱을 실행하지 않았던 비중이 절반을 넘어 52%까지 높았으나 1년 만에 35% 수준으로 낮아졌습니다. 지난해 5월 MAU(약 86만 명) 역시 1년 새 83% 증가하며 타 앱과 마찬가지로 크게 증가했습니다.

분석에 참여한 스마트포스팅 관계자는 “조사한 OTT 관련 앱 모두 일간 및 월간 활성자 수, 이용 빈도, 이용률 등 모든 면에서 큰 폭으로 상승했는데 OTT서비스와 스트리밍 콘텐츠에 대한 시장의 관심, 그리고 이용자의 행태 변화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결과이다”며 “콘텐츠 성격부터 과금 유형까지 서비스별 특장점이 명확하기 때문에 소비자 입장에서는 취향에 맞게 선택할 수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이번 조사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약 17만대를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신뢰 수준은 95%(±0.3%)입니다.

*원글은 스마트포스팅 공식 포스트에서 ‘인플루언서 마케팅 인사이트’ 시리즈로 발행됩니다.

저작권자 © 비즈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